Transparent Internet Caching 혹은 Transparent Caching이라 부르는 장비가 있습니다.
Problem Description
오늘날 YouTube 서버에는 엄청난 양의 동영상 파일들이 존재하고 하루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YouTube에 접속하여 인기 동영상을 시청합니다. 저도 YouTube에서 "나가수"를 즐겨 봅니다~*
근데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는 YouTube 서버가 없습니다.
그래서 SK Telecom 가입자인 "윤아"가 YouTube에서 "나가수"를 선택하면 그 동영상은 (예를 들면) 미국에 있는 YouTube 서버에서 가져옵니다.
여기서 사용자 윤아가 겪는 문제점은...
한국과 미국간 거리가 멀고, 그 사이에 많은 ISP(Internet Service Provider)가 존재하므로 "윤아" 입장에서는 "나가수" 동영상을 시청하는데 애로가 좀 있죠. 그 애로라 함은... 일단 거리가 멀기 때문에 Network Delay(RTT가 큼)가 발생하여 동영상이 바로 뜨지 않을 것이고, 또 하나는 많은 ISP를 거치면서 패킷 drop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어 동영상 패킷 loss 발생 시 다시 재전송을 받아야 하니 이 역시 "윤아" 입장에서는 동영상이 나오다 잠시 멈추고 다시 보이고 하는 현상(버퍼링)이 발생할 수 있죠 (Poor QoE - Quality of Experience)
이제 SK Telecom 가입자 "서현"이도 동일 "나가수"를 시청하려 합니다. "유리"도, "태연"이도...
이렇게 동일 동영상 컨텐츠를 많은 사람들이 시청하게 되면 SK Telecom 입장에서는 좋을 것이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통신 사업자는 전세계 어느 곳과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타사업자와 Internet 연결을 하고, 트래픽 사용량 만큼 서로간 돈을 지불하는 식입니다.
SK Telecom는 동일 컨텐츠를 수도 없이 타사업자망을 통해 가져와야 하므로 그 만큼 트래픽이 발생하여 돈이 많이 들죠. 사람들이 "나가수"를 많이 볼 수록 돈이 더 나가야 하는 거죠. 그리고 SK Telecom 망 안에서도 동일 컨텐츠가 계속 망을 타고 다니므로, SK Telecom 망에 트래픽이 많아 집니다.
문제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사용자는 동영상을 즉각적으로, 그리고 끊김없이 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 통신 사업자는 돈이 계속 나간다.
- 통신 사업자 내부망의 트래픽 양이 증가한다.
Advantage of TIC
이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TIC를 살펴 보도록 하죠.
SK Telecom가 TIC 장비를 구매하여 POP에 설치하였다고 보죠. (POP이란 단순하게 생각하시면, 서울의 경우 각 "구"마다 하나씩, 나머지 지역은 각 "시", "도"마다 하나씩 있는 통신사업자 건물이며 여기에 사업자의 통신 장비가 위치해 있습니다.)
이 TIC의 가장 중요 임무는 이름 그대로 Caching입니다. 그래서 "윤아"가 "나가수"를 미국의 YouTube 서버를 통해 한번 시청하면, 그 동영상 파일은 TIC에 자동 저장(Caching)됩니다. 그래서 이후 "서현", "유리", "태연"이가 동일 동영상을 시청하려고 하면 미국에 있는 YouTube 서버에서 동영상을 받아 오지 않고 바로 이 TIC로 부터 가져 오게 됩니다.
비록 TIC로 부터 동영상을 가져 오지만 사용자 단말은 동영상을 YouTube 서버로 부터 가져 온 것으로 압니다(즉, Source IP 주소가 YouTube 서버로 보임. TIC는 IP 주소가 없는 장비임). 그래서 Caching 앞에 Transparent란 단어가 붙어 있습니다.
이와 같이 TIC를 사용하면 위에서 열거한 문제점 들이 자연스럽게 해결이 되죠.
- 사용자는 동영상을 미국이 아닌 사용자와 가까히 위치한 TIC로 부터 받아 오니 즉각적이고 끊김없이 동영상 시청이 가능하다.
- 통신 사업자는 동일 컨텐츠를 한번만 Internet을 통해 가져 오면 되니까 (이후에는 TIC에 들어와 있으니 또 가져 올 필요 없음) 돈이 절약된다.
- 통신 사업자 망 여기 저기(시, 도, 구)에 TIC를 배치하였으므로 내부망(백본망) 트래픽이 준다.
아래 그림은 지금까지의 설명을 도식화 한 것입니다. 위 그림이 TIC 적용 전의 문제점, 그리고 아래 그림이 TIC 적용 이후의 장점입니다.
CDN 처럼 유투브와 연동한다면 이해가 갑니다.
그렇다면 캐싱 장비와 CND 장비의 차이점이...무엇인지 궁금해지는 군요 ^^
그래서 (예를 들어) KT가 TIC를 도입해도 Google(YouTube)과 무슨 계약을 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압니다.
사용자의 요청을 가로채고 중간에 바꾸는 기술은 아래 문서들을 참조하시구요. (혹시 궁금하신 부분 있으시면 글 남겨 주세요)
■ Transparent Internet Caching (TIC) 동작 원리
https://www.netmanias.com/bbs/view.php?id=blog&no=243
■ Transparent Internet Caching (TIC) 상세 동작 원리
https://www.netmanias.com/bbs/view.php?id=blog&no=318
TIC와 On-Net CDN 장비(예. Cisco CDS)의 가장 큰 차이는...
1. TIC는 사업자의 인터넷 회선/백본 회선 비용 절감 및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빠른 다운로드) 제공이 목적입니다. 즉, 사업자는 TIC 도입으로 돈을 벌 수 있는 모델은 아니구요.
2. On-Net CDN은 사업자와 OTT간 계약을 통해 OTT 컨텐츠를 사업자의 On-Net CDN에 캐싱시켜 줌으로써, (1) 사업자는 OTT로 부터 돈을 받을 수 있고, (2) OTT는 On-Net CDN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빠른 다운로드 및 QoS 제공)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사업자의 TIC 도입 이유는 YouTube 때문일 것이구요.
On-Net CDN의 예는 영국 BBC가 BT의 On-Net CDN 서비스 이용입니다.
TIC, On-Net CDN, Mobile Video Optimization 등등에 대해서는 아래 문서를 참조하세요.
■ 2012 콘텐츠 네트워킹 트랜드 - OTT, Global CDN and Operator
https://www.netmanias.com/bbs/view.php?id=reports&no=73
무슨 기준으로 그런게 이루어지는거죠?????
넷매니아즈에 기본 캐싱에 관한글 없나요 ㅠㅠ 캐싱부터 알아야겟어요 ㅠㅠ
감사합니다 잘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