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IMS를 새로 시작하게 되었는데, 멀 어디서 부터 공부해야 할지 막막하네요.
IMS를 진행하다 보면, Default PDN / IMS PDN이라는 용어가 나오고, Default bearer / Dedicate bearer라는 용어들이 나오는데 찾아봐도 잘 이해가 안갑니다.
요 내용들 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좋은 사이트나 정보가 있으시면 공유 부탁드리겠습니다.
P.S) PDN을 보면, Internect PDN / MMS PDN / IMS PDN / SIP PDN 등등 너무나 많은 종류의 PDN 들이 존재하는데요, 관련 내용들도 함께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PDN은 Public Data Network의 약자로, 하나의 단말에서 각각 다른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것 입니다.
가령 HD Voice(VoLTE)를 지원하는 단말을 보면 보통 IP가 2개가 설정되어 있는데,
각각의 IP를 PDN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여 Default PDN이란 보통 Internet 망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위해 기본적으로 Core단의 P-GW로부터 할당받는 IP이고, IMS PDN은 HD Voice 등 IMS관련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IP주소 되겠습니다.
그리고 Bearer는 Legacy 망에도 존재하는 Concept로 쉽게말하면 망과 단말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느 Entity 사이에 설정되는냐에 따라 LTE에서는 Radio Bearer - S1 Bearer(Radio Bearer + S1 =E-RAB) - S5 Bearer 가 있고 통칭하여 EPS Bearer라고 합니다. Default Bearer는 단말이 PDN(여기서 PDN은 Packet Data Network)과 연결되면 설정되는 기본 Bearer이며, Dedicated Bearer는 서비스의 QoS정책에 따라 추가로 설치되는 Bearer 입니다. 두 Bearer의 가장 큰 차이라면, 목적과 QoS라고 할 수 있는데요, 우선 Default Bearer는
non-GBR(GBR: Guaranteed Bit Rate)로 QCI 5번이 통상 적용 됩니다. 최소 Bit Rate를 적용 받지 못 하므로 음성,
영상 같은 실시간 서비스에는 적합 하지 않고요, 그래서 해당 서비스를 위해 필요시 P-GW(정확히는 PCRF에 의해)
Dedicated Bearer가 추가로 설치 됩니다. Dedicated Bearer는 GBR 혹은 non-GBR이 적용되며 각 설정은 QCI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짧은 지식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그리고 좋은 사이트라면... 여기가 좋지 않나요?? ㅎㅎ
정말 완벽한 답변이군요..
많은 도움이 되었씁니다.
안녕하세요? 지나가는 나그네인데요.
PDN은 Packet Data Network의 약어로 알고 있습니다.
Packet Data 통신이 가능한 Network을 총칭하는 표현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PDN = Internet = IP Network 으로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PDN = IP Network (Internet, IMS 등)이 맞지 않을까 싶네요.
왜 PDN이라 부르는지는 아래 내용 참고하세요.
http://bit.ly/29V06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