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매니아즈 블로그를 통해 총 3편에 걸쳐 LG U+와 KT 인터넷 회선에서의 YouTube 다운로드 속도 비교 시험 결과를 소개드린바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LG U+에 도입된 Google Global Cache(이하 GGC)를 통해 어떤 흐름으로 YouTube 동영상이 내 단말로 다운로드 되는지 work flow를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오늘 1편에서는 GGC가 도입되지 않은 KT의 경우를 살펴 보고, 다음 2편에서는 LG U+ 내의 GGC에 사용자가 요청한 동영상이 있는 경우(Cache Hit)와 그렇지 않은 경우(Cache Miss)를 나누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KT 회선을 통한 YouTube 다운로드
먼저 아래 그림의 구성을 간략히 살펴 보면
- 왼쪽 회색판[Google Server (USA)]: 유튜브 서버(www.youtube.com)와 GGC(o-o.preferred.lax04t01.v1.lscache6.c.youtube.com)가 미국에 위치함
- 오른쪽 회색판[KT Network (Korea)]: 대한민국 KT 망에 KT 가입자가 연결되어 있음
- 가운데 회색판[Transit]: KT 망과 미국 망을 연결시켜주는 Transit Network
- KT 가입자가 YouTube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브라우져에서 www.youtube.com을 입력합니다. 가입자 단말은 YouTube 서버의 IP 주소를 알아오기 위해 KT DNS(반드시 KT DNS일 필요는 없음)로 DNS Query를 보냅니다.
- 그리고 KT DNS는 YouTube 서버 주소인 74.125.71.136을 가입자 단말로 전달합니다.
- 이제 가입자는 YouTube 서버에 접속하여 Avatar 동영상을 클릭합니다.
- 가입자 단말은 HTTP GET 메시지를 YouTube 서버로 보내 Avatar 동영상을 요청합니다.
- 이 대목이 아주 중요합니다! HTTP GET 메시지를 받은 YouTube 서버는 단말의 IP 주소 대역을 확인합니다. 이는 GGC가 도입된 통신 사업자의 IP 대역인지 아닌지를 보기 위함으로, KT의 경우 GGC가 들어가지 않았으므로
- YouTube 서버는 미국에 위치한 GGC의 hostname(o-o.preferred.lax04t01.v1.lscache6.c.youtube.com)을 가입자 단말로 전달합니다.
- 가입자 단말은 hostname = o-o.preferred.lax04t01.v1.lscache6.c.youtube.com에 대한 DNS Query를 하고,
- 그 응답으로 74.125.215.176 주소를 받아 옵니다. 이 주소는 미국에 있는 GGC의 주소이죠.
- 이제 가입자 단말은 74.125.215.176으로 Avatar 동영상을 요청하고,
- 미국(hostname에 lax가 들어간 것으로 보아 LA 지역으로 추측됨)에 있는 GGC로 부터 동영상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미국과 한국간 RTT는 약 200ms 정도이고, 저녁시간에는 아마도 동영상 시청이 불가능 할 정도로 버퍼링이 많이 발생할 것입니다.
Gg c Installation
KT도 GGC 도입 한 것으로 보입니다.
Ping 떄리니 59.18.34.216 가 나오고
KT 에 할당되어 있는 IP가 맞더군요
KT도 최근에 googlevideo 캐시 서버를 도입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조해주세요. 요즘은 스트리밍 서버 주소가 [Stream Host].googlevideo.com으로 통일 된 것으로 보여 겉으로는 ISP 소재를 확인하기는 힘듭니다.
http://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lecture&wr_id=292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