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g. Date: January 26, 2002 By 김학용
>안녕 하세요.
>가장 기본적인 질문이겠지만,
>브로드케스팅개념은 알지만, 이것이 확실하게 네트웍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요, 물론 켐퍼스네트웍에서..
>
>예를 들어 브로드케스팅이 어떻게 작용을 해서 이 네트웍에
>영향을 준다는 식으로 예를 들어서 설명을 바랍니다..
>
>꾸번 ^^
캠퍼스 네트웍이라면 전체를 하나의 네트웍으로 구성하기 보다는
단과 대학을 하나의 서브넷으로 혹은 커다란 건물을 하나의 서브넷으로
혹은 더 작게 각 학과를 하나의 서브넷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브로드캐스팅은 동일 서브넷 안에 있는 모든 station에 동일한 내용을
전달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서브넷을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이라고도 합니다.
이더넷의 경우 미리 정해진 맥어드레스 FFFF.FFFF.FFFF를 사용해서
방송을 하게 됩니다. 그러면 동일 서브넷 안의 모든 station들은 이 방송을
듣게 됩니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는 받아들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버리게
됩니다. 문제는 방송된 내용이 자신에게 필요한지 그렇지 않은지의 여부를 떠나
무조건 CPU나 그에 상응하는 프로세서가 일을 해야 한다는 것이죠. 그래서
쓸모 없는 것이면, 에이 헛일했구나 하고 허탈해할테고 그렇지 않으면 내가
해야할 일을 한 것이구나 이렇게 생각하게 됩니다. 조금 바보같은 방식이죠.
어쨌든, 당연히 브로드캐스팅이 많으면 많을수록 트래픽 양도 증가할테도,
그에 대한 프로세서의 부담도 증가하게 되어 전체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되게
될 것 같네요.
그리고, 캠퍼스나 일반 가입자 쪽인 아닌 SONET/SHD 기반 백본에서의
브로드캐스팅은 더 위험합니다. 이런 경우 브로드캐스팅은 해당 네트웍의
모든 station과 point-to-point 연결을 설정해서 동일한 트래픽을 전송해야
합니다. 따라서, station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브로드캐스팅을 했을 때
증가하는 네트웍의 로드도 커지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