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g. Date: September 25, 2002 By 손장우
EoS (Ethernet over SONET/SDH)는 기존의 SONET망을 통해 Ethernet 서비스를 제공해주기 위해 SONET payload에 Ethernet frame을 실어 나르는 기술을 EoS라고 합니다.
최근들어 Metro Ethernet Service가 각광을 받고 있는 데요,
Metro Ethernet은 크게 Ethernet Service와 Ethernet Transport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습니다.
1) Ethernet Service란 가입자에게 Native Ethernet Service Interface를 제공한다는 의미로 정의할 수 있고
2) Ethernet Transport는 가입자(CP:Customer Premise)와 통신 국사(CO:Central Office)구간이 아니라 국사와 국사 구간을 Ethernet으로 연결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EoS는 Ethernet Service를 제공하는 데, 즉 가입자는 Ethernet Interface를 통해 Service Provider에게 접속하는 데 SP의 망은 SONET인 경우에 EoS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즉, Transport는 SONET이지만 Ethernet Service는 제공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SONET망 인프라를 가지고 있는 통신 사업자는 기존 SONET망을 활용하여 Ethernet Service를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대개, 새로이 망을 구축하여 Ethernet service를 제공하는 통신사업자의 경우에는 Ethernet Service/Ethernet Transport 구조가 적합하고 기존 Carrier의 경우에는 EoS를 고려해볼 만합니다.
EoS 기술은 Ethernet frame을 SONET payload에 매핑하는 절차인 GFP (Generic Framing Protocol, ITU-T G.7041), 복수개의 T1/E1또는 복수개의 STS-1을 하나의 SONET circuit으로 인식하게 해주는 VC (Virtual Concatenation, ITU-T G.707) 그리고 이 복수개의 묶음수를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시그날링 프로토콜인 LCAS (Link Capacity Adjustment Scheme, ITU-T G.7042) 등이 핵심 기술입니다.
POS (Packet Over SONET)과는 차이가 있는 데, 일단 POS는 IP Packet을 SONET Payload에 실는 절차인 데, 따라서 이 장비는 Router이겠지요.
그런데, EoS는 IP를 보지 않고 Ethernet Frame을 그대로 SONET Payload에 실습니다. 따라서 L3기능은 필요없고 L2로만 동작하여 운영이 단순합니다.
EoS기술을 탑재한 SONET 장비를 흔히 NG(Next Generation)-SONET이라고 하며 대표적인 벤더로는 Cisco (ONS15454), Ciena, Lucent(DMX), Appian, WhiteRock, Native Networks, Alcatel 등이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넷매니아즈 White Paper를 통해 소개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아래 사이트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http://www.lightreading.com/document.asp?site=lightreading&doc_id=14781
>EoS가 먼지 알 수 있을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