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g. Date: October 17, 2002 By 김학용
흔히 QoS와 CoS를 거의 같은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 둘 사이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QoS와 CoS를 함께 사용하는
이유는, QoS는 CoS에 비해 일반적인 개념으로 CoS까지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보통, CoS는 어떤 클래스의 전달의 우선순위(delivery priority)를
나타냅니다. 클래스라 함은 비슷한 특성을 가진 여러 트래픽 플로우가
하나로 합해져서 함께 처리되는 것을 말하죠. 따라서, 네트웍이 네트웍
에지 부분과 코어 부분으로 구성된다고 가정하면, 주로 코어 영역에서
각 클래스의 서비스 특성을 규정하게 되는 것입니다. CoS가 클래스의
전달 우선순위만을 고려하는 것이기 때문에, 딜레이나 로스와 같은
다른 특성들은 보장이 되지 않습니다. 높은 우선순위의 클래스가 낮은
우선순위의 클래스에 비해 먼저 전달되도록 처리가 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높은 우선순의 클래스에 속한 트래픽의 딜레이나 로스를 보장해 주지는
못합니다.
반면에, QoS 라는 것은 어떤 트래픽 플로우의 딜레이, 로스, 그리고 대역폭과
같은 전반적인 트래픽 특성을 보장해 주려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특정 노드에서의 트래픽 플로우의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end-to-end로 즉, 네트웍 전체에 대해서 트래픽 플로우의 특성을 유지/
보장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전달 우선순위는 기본이 되구요,
대역폭이라던지 딜레이 특성 혹은 로스 특성 같은 것들도 함께 고려해
주어야 합니다. 이런 복잡다양한 특성을 end-to-end로, 즉 모든 노드에서
고려해 주는 것은 실제로 네트웍에 엄청난 부담을 가져다 주게 됩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네트웍의 바운더리(에지)에서 다양한 특성들을
고려해서 각 트래픽을 특정한 클래스로 분류(classification)을 해주게
됩니다. 그러면, 네트웍 코어에서는 클래스의 우선순위만 고려해서 전달이
되겠죠 (CoS). 아마도 이렇기 때문에, CoS와 QoS를 거의 같은 개념으로
상요하는 것 같습니다.
김학용 홈페이지: http://hakyongkim.net
>Quality of Service와 Class of Service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비슷한 점도 있는 것 같은데, 차이점이 확실히 이해가 않되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