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PPP,PPPoA,PPPoE, RFC1483, RFC1577관련
Reg. Date: March 20, 2001 By 갱단
PPP는 RFC1661, 1332 등에서 정의 되였는데 여기서는 PPP 시그널링을 다루고 있지요.
LCP, PAP(CHAP), IPCP 등.....
그리고 PPPOA, PPPOE는 PPP의 프레밍 계층을 말하는것이구요.. 즉 PPP팻킷을 각각 ATM, Ethernet환경에서 어떻게 만들어서 보내겠는가를 정의 해놓은거죠... PPPOE는 Sharing media 방식을 사용하는 Ethernet특성상 PPP를 구현하기 위해 PPPOE 서버를 찾는 부분이 선행되여 있지요.. ATM은 VPI/VCI로 Point to point 방식을 실현할수 있기에 그런 부분이 필요 없구요.. 프레밍해더를 제외하고 기본상 PPP over HDLC나 같아여...
RFC1483은 이더넷과 ATM을 브리지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정의 해놓은 패킷 Encapsulation/Decapsulation규약이죠... 때문에 사실은 Bridge 구현이 더 어려운것이지 RFC1483은 그냥 LLC 헤더를 뗐다 붙혔다 하면 되는것이죠..
RFC1577은 IP계층과 ATM을 연동하기 위해 만든것이구요..이것도 ATM을 SVC방식으로 운영한다면 좀 어렵겠지만 PVC방식으면 그리 어렵지 않을겁니다..
PPP소스는 리눅스 소스가 참 훌륭합니다... PSOS에서 패키지로 파는 PPP소스도 리눅스 소스를 포팅하것이더군요..
만일 리눅스 PPP소스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저한테 연락주세요..
그럼..
김소영 wrote:
>
>안녕하세요..
>
>위의 RFC 스팩을 제외하고 참고할만한 서적이나
>자료가 없을까요..스팩은 모호한 이야기들이 많아서
>좀더 많은 자료가 필요합니다.
>
>앞으로 VxWorks를 이용해서 위의 프로토콜을 포팅해야
>하는데요...전 넷맹이다시피합니다.
>
>관련스팩은 거의 다 보았지만 아직도 뭐가 뭔지 잘모르겠네요.
>도움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