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네이버클라우드(주)(대표 박원기)가 신청한 5세대 이동통신(이하 ‘5G’) 특화망 주파수 할당과 기간통신사업 등록이 12월 28일 완료되었다고 밝혔다.
5G특화망은 5G 융합서비스를 희망하는 사업자가 직접 5G를 구축할 수 있도록 특정구역(토지/건물) 단위로 5G 주파수를 활용하는 통신망으로, 이번 사례는 과기정통부가 추진해 온 5G특화망 정책*에 따라 도입된 첫 사례이다.
* ‘5G특화망 정책방안’(1월), ‘5G특화망 주파수 공급방안’(6월), 주파수 분배 및 제도개선(7월~11월), 주파수 할당 공고(10월) 등
그간 5G서비스는 기존 통신사업자로부터 받아야만 했으나, 이제는 5G융합서비스를 이용하려는 기업이면 누구나 특성에 맞는 5G망을 직접 구축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었다.
이번 네이버클라우드의 5G특화망은 네이버 제2사옥 내에 구축되어 네이버랩스(주)가 개발한 ‘5G브레인리스(두뇌 없는) 로봇’과 함께 운용될 예정이다.
주파수 대역은 28㎓ 대역을 포함한 5G특화망 전체 대역폭*이 신청되었으며, 과기정통부는 향후 5G 브레인리스 로봇이 대규모 트래픽을 활용할 가능성 등을 볼 때 5G특화망 주파수 전체 대역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신청 주파수 대역 전체를 할당하였다.
* 28㎓ 대역 600㎒폭(28.9~29.5㎓), 4.7㎓ 대역 100㎒폭(4.72~4.82㎓)
주파수 할당대가는 토지/건물 단위로 주파수를 이용하는 5G특화망 특성에 부합하도록 산정됨에 따라, 전국 단위의 이동통신 주파수에 비해 현저히 낮은 비용*으로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 5G 특화망 주파수 할당대가(네이버클라우드) : 1,473만원(연면적 0.1682㎢, 5년 기준)
한편 과기정통부는 주파수 할당 절차를 기존 대비 대폭 간소화한 바 있어, 신청 이후 1개월만에 신속히 심사를 완료하였다.
※ 전파간섭 분석 및 관련 현장실사, 전문가 심사위원회 등 진행
아울러 네이버클라우드의 5G특화망 서비스 제공을 위한 회선설비 보유 기간통신사업자 변경등록 신청에 대해, 과기정통부는 제출된 이용자 보호계획 등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필요 최소한의 이용자 보호방안 등을 마련하여 변경등록 처리하였다.
또한, 이날 과기정통부는 5G특화망을 ‘이음(e-Um) 5G’라는 새 이름으로 부를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이하 ‘KCA’)과 함께 지난 11월29일부터 12월17일까지 「5G특화망 새 이름 공모전」을 진행한 결과 총 3,300여건이 제출되어 큰 호응을 받았으며,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를 거쳐 6개의 당선 명칭을 선정하였다.
초고속(eMBB), 초저지연(URLLC), 초연결(mMTC)의 5G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고 나와 우리, 그리고 사물과 사회까지 이어준다는 의미를 담아 제안한 ‘5G이음(e-Um)’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보다 부르기 쉽게 ‘이음(e-Um) 5G’로 변경하여 5G특화망 새 이름으로 확정하고 로고 제작 등을 통해 홍보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그 외에 ‘맞춤 5G’, ‘하이 5G’를 우수상으로, ‘URI 5G’, ‘WITH 5G’, ‘U-5G’를 장려상으로 선정하였고, 공모전 대상에는 과기정통부장관상을, 우수상과 장려상에는 KCA원장상을 수여할 계획이다.
조경식 제2차관은 “올해는 새롭게 이음5G를 시작하는데 중점을 두었다면, 내년 2022년은 이음5G가 본격 확산되는 원년이 될 것”이라며, “이번 네이버클라우드 사례에서 인공지능, 로봇, 클라우드가 이음5G를 통해 하나로 이어졌듯이, 이음5G를 중심으로 앞으로 모든 기기가 연결되어 다양한 5G 융합서비스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음5G가 확산되며 장비‧부품, 서비스 등 5G+ 전‧후방 산업의 생태계가 더욱 활성화 되고, 나아가 디지털 뉴딜 시대 국가‧산업 전반의 디지털 대전환이 더욱 촉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하였다.
네이버클라우드 이음5G (5G 특화망) 세부 내용
이음5G 신청 내용
서비스 주요 내용
[운용 구조] 로봇 운영ㆍ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ARC(AI, Robot, Cloud)’ 플랫폼에 5G로 연결된 ‘5G 브레인리스 로봇’이 운용 구역 내 광범위한 공간을 자율주행하며 서비스 제공
< ‘5G 브레인리스 로봇’ >
5G를 통해 로봇 운영ㆍ제어 클라우드에 연결하여 운용하는 자율주행 로봇
- 실내측위, 사물인식, 회피 제어 등 고성능 처리를 로봇에서 수행하지 않고 초저지연 특성을 갖는 5G특화망을 통해 클라우드에서 처리
- 로봇에 처리장치가 적어 제작비용이 낮아지고 배터리 소모가 적어 더 오래 주행하면서도, 이음5G에 연결되기만 하면 더 똑똑한 성능을 발휘
[제공 서비스] 사옥 입주사 직원 등 대상으로 ‘5G 브레인리스 로봇’이 택배, 도시락, 카페음료 등 배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