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포트 | 기술문서 | 테크-블로그 | 원샷 갤러리 | 링크드인 | 스폰서 컨텐츠 | 네트워크/통신 뉴스 | 인터넷자료실 | 자유게시판    한국 ICT 기업 총람 |

제품 검색

|

통신 방송 통계

 
 
 
섹션 5G 4G LTE C-RAN/Fronthaul Gigabit Internet IPTV/UHD IoT SDN/NFV Wi-Fi Video Streaming KT SK Telecom LG U+ OTT Network Protocol CDN YouTube Data Center
 

2025

5G 특화망

포탈

Private 5G/이음 5G

 포탈홈

  넷매니아즈 5G특화망 분석글 (156)   5G특화망 4가지 구축모델   산업분야별 5G특화망 활용사례  5G특화망 정량적 도입효과  |  [5G 특화망 벤더Samsung | HFR | more
 

해외

  국가별 사설5G 주파수 [국가별 구축현황] 일본 | 독일 | 중국미국 | 프랑스 | 영국  [사설5G 사업자] Verizon | AT&T | DT | Telefonica | AWS | Microsoft | NTT동일본 | NTT Com    
 

국내

  5G 특화망 뉴스 | 국내 5G 특화망 구축 현황  UPDATED  | 국내 5G 특화망사업자 현황 (19개사) | 국내 자가구축사례 일람 | 국내 특화망 실증사업사례 일람 | 5G 특화망 정책
 
 

[5G 특화망 구축 사례]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 | 반월시화산단 삼성서울병원 | 롯데월드 | 한국수력원자력 | 해군본부 | 한국전력공사 | 머크 바이오센터 more  [이통사] KT

 
 
스폰서채널 |

 HFR mobile의 5G 특화망 솔루션 (my5G)  Updated   |   뉴젠스의 5G 특화망 구축 및 운영 서비스  NEW  

  스폰서채널 서비스란?
banner
banner
SEARCH
Software-Defined Wide Area Network (SD-WAN), as a killer application featuring SDN and NFV, is now attracting much attention. In fact, it was not just another promising future technology, but has already been adopted in many commercial networks around the world. Globally (especially in the USA), the past two years have witnessed many enterprises migrating from conventional operator-pr...
06/28/2017
36,686
박진효 네트워크 기술원장 (왼쪽)과 최승원 인프라전략본부장 (오른쪽) 이어서 Q&A에서 논의된 사항들을 추가로 살펴본다. 5-CA (Q) Uplink CA 로드맵은? (A) UL CA 로드맵은 갖고 있다. UL 2밴드 CA를 준비 중이나 관련 문제들이 있다: 표준, 단말 complexity, UL 트래픽 표준 - 3GPP에서 i) 2-CA용 주파수 조합을 정하고 ii) UL과 DL을 같이 combining해야 하는데 사업자간 이견이 많다. 단말 complexity - 단말이 더 복잡해지고 배터리 소모도 커지는데 킬러 어플리케이션이 명확하지 않다. 낮은 UL 트래픽 - UL 트래픽은 여전히 10% 수준으로, 대부분의 트래픽이 DL 트래픽이다. 따라서 실...
06/26/2017
21,965
We are pleased to share with you all an interesting article contributed by Prasanna Naik who is Intrapreneur + Sr. QA Engineer + Product Manager Intern at Riverbed. Prasanna Naik Sr. QA Engineer at Riverbed Technology All Articles by Prasanna Naik...
06/26/2017
21,611
한국 이동통신 3사가 모두 5G 도입을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2G, 3G, LTE, LTE-A, 4.5G, IoT (LTE-M, LoRa, NB-IoT), WiFi 네트워크 등 통신사 네트워크는 갈수록 복잡해지고 그 성능이 고도화되고 있다. 동영상 이용증가로 계속되는 트래픽 증가와 곧 다가올 5G향 고용량 콘텐츠 등장으로 예상되는 트래픽 폭증은 네트워크 용량 증가와 스몰 기지국/셀의 확산을 요구한다. 또한 이통3사 모두 신성장 동력으로 IoT와 인공지능 (AI)를 강화하면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새로운 융합 서비스를 창출하는 빅데이터 비지니스와 분석된 데이터를 학습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비지니스가 부상하고 있다. 스몰 셀 증가와 IoT, AI 서비스 확산에 대비...
06/23/2017
27,515
We are pleased to share with you all an interesting article contributed by Laurence Rusiecki who is season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professional with strong leadership, technical and commercial skills. Laurence Rusiecki Senior Client Partner at Dimension Data (part of NTT)...
06/23/2017
22,625
Houman Sadeghi Kaji who is Experienced Board Member with a demonstrated history of working in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Skilled in Wi-Fi offloading/on loading Network Design, 4G, Diameter, MNO, MVNE, MVNO and Reliability Engineering. Houman Sadeghi Kaji Chief Innovation Officer (CIO) at Lotus Communication Inc....
06/21/2017
23,831
지난 블로그에서 Silver Peak, Citrix, Viptela, Velocloud의 SD-WAN 경로 제어 기술에 관해 살펴보았다. 본 블로그에서는 Versa Networks의 경로 제어 및 WAN 품질 향상 기술에 관해 살펴보자. Versa Networks(이하, Versa)는 2012년 설립된 인도 회사로 기업과 통신 사업자에게 SD-WAN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통신사업자 사례: 미국 CenturyLink, 미국 Comcast, 인도 Tata, 유럽 Colt 등). 1. 경로 품질 측정 (SLA Monitoring) 두 거점 (예, 지사와 본사)에 위치하는 SD-WAN CPE는 각 경로상으로 일정 주기로 SLA Probe를 주고 받아 경로의 품질을 측정한다(Act...
06/20/2017
17,815
삼성전자의 조성연님이 보내주신 Cellular IoT 관련 기고글입니다. 바쁘신 와중에 유익한 기고글을 보내주신 조성연님에게 정말 감사드립니다. 조성연님의 기고글 모두보기 지난 1부에서는 IoT를 실현하기 위한 표준 기술에 대한 개요와 cellular IoT의 등장 배경을 설명하였다. 1부에 이어 2부에서는 이동 통신 표준 단체인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이하 3GPP)에서 2009년경부터 표준화한 IoT 관련 표준 기술들을 설명한다. 3GPP에서는 Release-10 (NOTE1)부터 Cellular IoT 관련 기술들을 표준화하여 왔는데, Cellular IoT 표준화 초창기였던 Release-10과 Release-11의 표준화에서는 아래 표...
06/20/2017
27,564
We are pleased to share with you all an interesting article contributed by John Hardie. John Hardie Entrepreneurial Sales Manager at Apcela All Articles by John Hardie How to contribute your article to Ne...
06/19/2017
20,444
Disruptive Analysis의 Founder and Director인 Dean Bubley님이 보내온 기고글입니다. 필자는 오늘 5G (또는 심지어 4G)가 WiFi에 타격을 주거나 심지어 대체할지도 모른다는 취지의 주장 2가지를 접했다. 그 첫 번째는 Bloomberg (link) 기사로,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액 데이터 요금제 재개와 LTE-U가 결합할 경우 WiFi가 퇴물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는 필자가 읽었던 최악의 기사 중 하나이다. 두 번째는 1년 전 "새로운 서비스 및 시장"에 관한 3GPP 문서 (link)에 대한 Twitter 상의 토론이다. 이 문서 5.5 절 'Mobile Broadband for Indoor Scenario'...
06/14/2017
24,389
넷매니아즈에서 Nuage Networks (Nokia)의 Senior Product Marketing Manager인 Gary Kinghorn과 이메일을 통해 인터뷰한 내용입니다. Nuage Network의 SD-WAN 솔루션에 관해 궁금한 사항들을 질문했습니다. 인터뷰에 응해준 Gary Kinghorn에게 감사드립니다. 본문을 읽어보시고 추가로 궁금한 사항은 아래 코멘트에 남겨주시면 Nuage에 추가로 질의하여 답변을 게시하도록 하겠습니다. 국문으로 쓰시면 됩니다. 질의를 많이 남겨주세요. Gary Kinghorn Sr. Product Marketing Manager at Nu...
06/14/2017
16,025
With the recent launch of Samsung Galaxy S8, new technologies from the local telcos are flooding the South Korean market. Probably to avoid the criticism that they in a mere contest of speed, all telcos in the nation are now playing up the importance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quality assurance. On April 12th, KT announced that it had begun deployment of C-DRX (Connected mode Discontinuo...
06/13/2017
45,240
대규모 기업의 각 거점(Site)내에서는 응용별, 부서별, 내부인/외부인(협력사/게스트) 별로 각 거점내 자원에 대한 액세스/통신 권한을 구분하여 여러 개의 security zone(segment)을 구성한다. 아래 그림에 security zone의 예로 Intranet zone, PCI DSS zone, VoIP zone, Guest Access zone, 협력사 zone이 나타나 있다. 거점내, 즉 LAN에서는 세그먼트별로 VLAN을 할당하여 LAN망을 논리적으로 분리(Segmentation)하고, 각 세그먼트간에 통신이 필요한 경우는 해당 트래픽 Flow를 Firewall에 등록하여 세그먼트간 소통가능하게 해준다. * 네트워크 분리 ~ Security zone ~...
06/12/2017
23,455
We are pleased to share with you all an interesting article contributed by Amit Aneja who has expert level knowledge in latest SD-WAN technologies provided by multiple vendors, like Cisco IWAN, Velocloud, etc. Amit Aneja Sr. Solutions Architect at VeloCloud Networks All Articles by...
06/12/2017
20,806
SK 텔레콤은 또한, 갤럭시 S8 출시에 맞춰, 4월 20일 스마트폰 배터리 효율을 높이는 ‘C-DRX (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솔루션’도 국내 전역에 적용했다. KT는 이보다 앞서 4월 1일 C-DRX를 전국망에 적용하였다. C-DRX는 말 그대로 서비스를 이용 중인 단말이 기지국과 단말 간에 무선링크가 설정되어 있는 연결 상태 ('RRC_Connected 상태')에서 데이터를 비연속적으로 수신하는 기술이다. 장점은 단말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고, 단점은 데이터를 제 때 수신하지 못할 경우 전송지연으로 인해 패킷 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서비스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것이다. K...
06/09/2017
37,308
Vodafone UK의 Senior Traffic & Performance Modelling Engineer인 Barkan Ersoy님이 보내온 기고글입니다. Barkan Ersoy Senior Traffic & Performance Modelling Engineer at Vodafone UK All Articles by Barkan Ersoy (국문, 영문) 텔레콤 업계는 초대용량 및 초저지연의 차세대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5G 서비스 도...
06/08/2017
35,406
다음 문서도 보세요 SD-WAN 벤더 솔루션 비교 Version 1.1, 매니아즈 원샷 갤러리
06/08/2017
16,829
We are pleased to share with you all an interesting article contributed by Romit Atta. Romit Atta API Development and Mobile - Account Manager at Teknowledge Mobile Studio All Articles by Romit Atta How to...
06/07/2017
25,775
We are pleased to share with you all an interesting article contributed by Andrew Sinclair who is a hands on, analytical and solutions orientated engineer. Andrew Sinclair Technical Solutions Architect at iomart All Articles by Andrew Sinclair...
06/05/2017
21,165
Silver Peak, Citrix, Viptela의 SD-WAN에 관해 살펴본 지난 블로그 (Silver Peak 분석, Citrix 분석, Viptela 분석)에 이어, 본 블로그에서는 Velocloud의 SD-WAN 솔루션의 응용별 경로 제어와 WAN 품질 향상 기술들에 관해 알아본다. Velocloud는 2012년에 설립된 미국 신생 벤처로 SD-WAN 솔루션을 개발해 기업과 통신사업자, 클라우드 사업자에게 공급하고 있다. 아래 표에 작년과 올해 전 세계 통신사업자들의 Managed SD-WAN 서비스 제공 현황이 나타나 있다. 통신사업자 영역에서 현재 Velocloud가 크게 두각을 나타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Velocloud의 기업향 SD-WAN 솔루션...
06/02/2017
18,596
3G Subscribers (3) 4.5G (1) 4G LTE (2) 5G (452) 5G Private 5G (1) 5G 특화망 (148) 5g 특화망 (1) AI (25) ALTO (3) AR (3) ARP (9) AT&T (5) AWS (2) Akamai (16) Authentication (13) BSS (1) BT (5) Backbone (11) Backhaul (6) Big Data (4) Billing (1) Blockchain (3) Bridging (7) C-RAN/Fronthaul (61) CDN (47) CIoT (2) CPRI (13) Carrier Aggregation (7) Carrier Ethernet (11) Charging (4) China (1) China Mobile (5) Cisco (10) Cloud (6) Cloud Optimization (2) CoMP (11) Comcast (3) Connected Car (4) DHCP (15) DNS (18) Data Center (29) EDGE (35) EDge (1) EMM (14) EPS Bearer (8) Edge (6) Edge Computing (1) EoMPLS (4) EoS (4) Ericsson (3) Ethernet (9) FTTH (20) Femto Gateway (2) Fronthaul (1) GSLB (6) GiGAtopia (4) Gigabit Internet (61) Google (29) Google Global Cache (11) Google TV (2) HLS (10) HSDPA (2) HTTP (8) HTTP Adaptive Streaming (23) HTTP Progressive Download (7) Handover (12) Huawei (3) IEEE 802.1 (5) IGMP (5) IP (7) IP Allocation (14) IP Routing (32) IPSec (5) IPTV (88) IS-IS (1) IoST (5) IoT (160) Iot (1) KT (144) Korea (29) Korea ICT Market (20) Korea ICT Service (15) Korea ICT Vendor (3) L3 Switch (5) LG U+ (72) LSC (1) LTE (278) LTE Frequency (4) LTE Subscribers (4) LTE-A (34) LTE-A Pro (1) LTE-B (1) LTE-H (2) LTE-M (4) LTE-U (8) LoRa (13) MEC (58) MPLS (29) MPTCP (5) MWC 2013 (2) MWC 2015 (12) MWC 2016 (3) MWC 2017 (1) Metro Ethernet (24) Mobile IP (2) Mobile IPTV (3) Multi-Screen (7) Multicast (8) NAT (9) NB-IoT (12) NTT Docomo (3) Netflix (18) Network Protocol (119) Network Recovery (8) Network Slice (2) Network Slicing (7) New Radio (10) Nokia (1) O-RAN (2) OSPF (7) OTT (52) Openflow (2) Operator CDN (10) P2P (6) PCRF (3) PIM-SM (2) PS-LTE (3) Platform (2) Pooq (3) Privae 5G (1) Private 5G (201) Privatre 5G (1) QoS (18) RCS (5) RRH (1) Railway (1) Request Routing (7) Roaming (1) Router (8) SD-WAN (34) SDN/NFV (162) SIM (1) SK Broadband (5) SK Telecom (124) Samsung (12) Satellite (1) Security (28) Self-Driving (4) Shortest Path Tree (2) Small Cell (7) Spectrum Sharing (3) Switching (6) TAU (7) TPS (13) Transcoding (3) Transparent Caching (17) UHD (15) VLAN (3) VPLS (7) VPN (10) VR (5) Verizon (5) Video Optimization (5) Video Pacing (5) Video Streaming (58) VoLTE (11) VoWiFi (3) WAN Optimization (3) Wholesale CDN (7) Wi-Fi (74) WiBro(WiMAX) (4) Wideband LTE (3) YouTube (36) blockchain (1) eICIC (2) eMBMS (8) ePDG (8) iBeacon (1) security (1) telecoin (1) u+ tv G (5) uCPE (2) 로컬 5G (3) 이음 5G (100) 이음 5G\ (1) 이음5G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