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포트 | 기술문서 | 테크-블로그 | 원샷 갤러리 | 링크드인 | 스폰서 컨텐츠 | 네트워크/통신 뉴스 | 인터넷자료실 | 자유게시판    한국 ICT 기업 총람 |

제품 검색

|

통신 방송 통계

 
 
 
섹션 5G 4G LTE C-RAN/Fronthaul Gigabit Internet IPTV/UHD IoT SDN/NFV Wi-Fi Video Streaming KT SK Telecom LG U+ OTT Network Protocol CDN YouTube Data Center
 

2023

5G 특화망

포탈

Private 5G/이음 5G

 포탈홈

  넷매니아즈 5G 특화망 분석글 (132)   5G 특화망 4가지 구축모델   산업계 5G 응용   산업분야별 5G 특화망 활용사례  [5G 특화망 벤더Samsung | HFR | Nokia | more
 

해외

  국가별 사설5G 주파수 [국가별 구축현황] 일본 | 독일 | 미국 | 프랑스 | 영국  [사설5G 사업자] Verizon | AT&T | DT | Telefonica | AWS | Microsoft | NTT동일본 | NTT Com    
 

국내

  5G 특화망 뉴스 | 국내 5G 특화망 구축 현황 | 국내 5G 특화망사업자 현황 (19개사) | 국내 자가구축사례 일람 | 국내 특화망 실증사업사례 일람 | 5G 특화망 정책
 
 

[5G 특화망 구축 사례]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 | 반월시화산단 삼성서울병원 | 롯데월드 | 한국수력원자력 | 해군본부 | 한국전력공사 | more  [이통사] KT

 
 
스폰서채널 |

 HFR의 5G 특화망 솔루션 (my5G)  Updated   |   뉴젠스의 5G 특화망 구축 및 운영 서비스  NEW  

  스폰서채널 서비스란?
banner
banner
SEARCH
2014년 말, LTE in Unlicensed (LTE-U)를 둘러싼 LTE 진영과 WiFi 진영의 debate와 통신사업자들의 시각에 대해 포스팅한 이후, 통신사업자들의 비면허 대역 활용은 많은 진전이 있어 왔다. 본 리포트에서는 대표적인 LTE-WiFi 결합 기술인 LTE-U/LAA, LWA, MPTCP Proxy를 대상으로 현재 기술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파악해본다. 목차 1 INTRODUCTION 2 CURRENT TRENDS IN LTE - WIFI AGGREGATION 2.1 3GPP-BASED LTE - WIFI AGGREGATION...
03/11/2016
42,814
This article was published in Korea Communication Review magazine (KCR Q1 2015). For the rest of the Q1 2015 issue of Korea Communication Review magazine please click here 1. What is "LTE-Unlicensed"? And what's the big deal about it? 2. Korean Operators' Position (KT, SK Telecom and LG U+) 3. Discussion on Regulatory Requirements 4. LTE Advocates vs. Wi-Fi Advocates 1. W...
11/28/2014
52,932
지난 5월, LG U+는 작년 10월에 이어 두 번째로 600 Mbps급 LTE-U 기술을 시연하였다. 첫 번째 시연에서는 2.6 GHz 20 MHz와 5.8 GHz 20 MHz를 묶어 300 Mbps급 속도를 보여주었고, 이번 시연에서는 2.6 GHz 20 MHz와 5.8 GHz 60 MHz (3 x 20 MHz)를 묶어 600 Mbps급 속도를 보여주었다. LTE-U (LAA in 3GPP term)는 표준화도 완료되지 않은 상태지만, 국내에서는 LG U+를 선두로 이미 통신 3사 (SK Telecom, KT, LG U+) 모두 LTE-U를 시연하며 관련 기술을 확보해나가고 있다. SK Telecom은 올 2월 Ericsson/Qualcomm과 협력하여, 또 KT는 올 3월 MWC에서 삼성전...
06/10/2015
33,666
For the rest of the Q3 2015 issue of Korea Communication Review magazine please click here In its second demonstration of LTE in Unlicensed spectrum ("LTE-U", LAA in 3GPP term) conducted last month - 7 months after its first demonstration where it showed 300 Mbps through CA of 20 MHz at 2.6 GHz and another 20 MHz at 5.8 GHz, LG U+ successfully achieved 600 Mbps through carrier aggregation (C...
06/15/2015
57,572
"LTE-Unlicensed" - 이게 뭐고 왜 이슈인가? 최근 들어, LTE-Unlicensed라는 다소 생소하지만 흥미로운 개념이 회자되기 시작하고 있다. LTE라고 하면 모든 나라의 통신사업자들이 조 단위의 주파수 사용료를 각국의 정부에 내고 이용자들에게 통신 이용료를 받으며 상용 서비스를 하는 구조이고, 와이파이는 누구도 주파수 구매를 위한 돈을 내지 않고, 그 주파수를 이용하여 나름대로 자신들의 시장을 만들어 나가는 컨셉이다. 이용자들도 LTE 서비스는 돈을 내고 와이파이 서비스는 돈을 안 낸다. 이용자들 입장에서는 와이파이는 매우 유용하다. 그런데, 이 둘간에 영역 다툼이 생겨나기 시작하고 있다. 통신사들이 무주공산인 unlicensed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려 하는 것이다....
11/21/2014
57,128
For the rest of the Q2 2015 issue of Korea Communication Review magazine please click here At Barcelona's Mobile World Congress (MWC) 2015, KT demonstrated a variety of new 5G, Hetnet and IoT technologies and services. Of all those presented, below we will focus on our most interested topics, WiFi-related pre-5G technology, LTE-Hetnet (LTE-H) and LTE-Unlicensed (LTE-U), and see how t...
03/30/2015
80,629
LTE 분야 첫 문서로 LTE 네트워크 구조를 소개한다. 먼저 LTE 네트워크 참조 모델을 정의하고 LTE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Evolved Packet System(EPS) 엔터티들과 각 엔터티 기능을 기술한다. 이어서 엔터티 간 인터페이스와 각 인터페이스에서의 프로토콜 스택을 기술하고, 마지막으로 LTE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 트래픽이 어떻게 전달되는지 인터넷 트래픽을 예로들어 설명한다. 목차 1. 들어가는 글 2. LTE 네트워크 참조 모델 3. LTE 프로토콜 스택 4. LTE 네트워크 상의 트래픽 흐름 5. 마치는 글 1. 들어가는 글...
09/10/2010
228,186
■ MWC 기술 분석 2: LTE-Advanced – Carrier Aggregation MWC 2013 기술 분석 (1편)에서 Service Aware RAN에 대해 알아보았었지요. 오늘은 LTE-Advanced 기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LTE-Advanced 기술”이란 용어는 Air, 네트워크 구조, 서비스 등 여러 분야에서 바라볼 수 있어 광범위하죠. 우선 LTE-Advanced (이하 LTE-A) 시스템은 LTE 시스템에 비해 훨씬 높은 throughput (또는 용량)을 갖습니다. 높은 throughput을 얻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몇 가지 예를 들어보죠.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묶어서 동시에 사용, 즉 더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06/20/2013
53,713
올해 3월에 스페인에서 개최된 MWC 2015에서 KT는 5G, Hetnet, IoT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신기술과 서비스를 시연했다. 이 글에서는 이중에서 와이파이 관련한 pre-5G 기술, LTE-H (LTE-Hetnet)과 LTE-U (LTE-Unlicensed)에 관한 시연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1. LTE-H (LTE-HetNet) 그림 1.MWC 2015에서 KT의 LTE-H 시연 KT는 LTE와 와이파이간의 링크 레벨 병합기술(LTE-WiFi Link Aggregation)인 LTE-H를 세계 최초로 시연했다. LTE 기지국과 WiFi AP는 삼성 장비가, 단말 칩은 Qualcomm 칩이 각각 사용되었다. 시연 현장에서 LTE-H 기술로 600Mbps가 넘는...
03/25/2015
38,484
With the recent launch of Samsung Galaxy S8, new technologies from the local telcos are flooding the South Korean market. Probably to avoid the criticism that they in a mere contest of speed, all telcos in the nation are now playing up the importance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quality assurance. On April 12th, KT announced that it had begun deployment of C-DRX (Connected mode Discontinuo...
06/13/2017
40,011
SK 텔레콤의 모바일 트래픽은, 2011년 7월 LTE 서비스 개시 후 급격히 증가하여, 2011년 6월 5.7 PB 이던 것이 2015년 4월에는 10배 이상 증가한 57.7 PB에 이른다. 2015년 4월 기준으로, SK 텔레콤은 LTE 상용 주파수 폭(DL 기준)은 KT, LG U+와 같은데, 국내 LTE 시장 점유율과 모바일 트래픽 량은 절반에 육박한다 (LTE 시장 점유율 47%, 모바일 트래픽 량 44%). 현재 SK 텔레콤의 LTE 상용 주파수 폭 (DL 기준)은 세 개 대역에서 총 40MHz (10 MHz@850 MHz, 20 MHz@1.8 GHz, 10 MHz@2.1 GHz)로, 작년 12월 3-band CA가 상용화되어 최대 300 Mbps 속도를 제공하고 있다....
08/04/2015
34,996
LTE Security 문서에서는 LTE 인증, NAS Security 및 AS Security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문서는 첫 번째 문서로 AKA(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절차에 따른 LTE 인증을 기술하고 사용자(UE)와 망(MME) 간에 공유되는 키(KASME)를 설명한다. 두 번째 문서에서는 KASME를 기반으로 NAS 및 AS Security 키를 구하는 과정을 다루고, 제어 시그널링과 사용자 패킷이 Security 키를 통하여 어떻게 안전하게 전송되는지 기술한다. 목차 1. 시작하는 글 2. LTE Security 개념 3. LTE 인증 절차...
05/23/2011
77,502
For the rest of the Q2 2015 issue of Korea Communication Review magazine please click here As a sequel to the previous post (KT's demonstration of LTE-H and LTE-U), this post will introduce another pre-5G/5G technology, LTE-TDD, showcased by KT at MWC 2015, covering three relevant demonstrations: 9-carrier CA, LTE-UL/DL CA, and triple mode cell. 3. LTE-B (LTE-Beyond) Figure...
03/31/2015
62,049
삼성 갤럭시 S8 출시와 더불어 이동통신사의 신기술 마케팅이 한바탕 휩쓸고 있다. 속도 경쟁만 강조한다는 비판을 의식한 듯 고객만족과 품질향상을 앞세우고 있다. 지난 달 (4월 12일) KT는 C-DRX (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기술을 4월 1일부터 전국 LTE 망에 적용하였고, 테스트 결과 스마트폰 배터리 소모가 평균 40% 감소하였다고 발표하였다. 4월 20일에는 SK 텔레콤이 기자 간담회를 열고, 5-CA (carrier aggregation) 상용화 계획 (5월 말)과 4.5G 진화 로드맵을 공개하면서, 이와 함께 인공지능 (AI)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품질 관리를 강조하였다. 왜 품질 관리를 얘기하나? •...
05/14/2017
38,095
이 글은 지난 포스팅 (LTE-H, LTE-U 소개)에 이어 KT가 MWC 2015에서 시연한 Pre-5G/5G 기술들을 소개하는 두 번째 블로그글로 LTE-TDD 관련하여 시연한 내용들 (9-carrier CA, LTE-UL/DL CA, triple mode femto) 기술들을 살펴 보자. 3. LTE-B (LTE-Beyond) 그림 5. KT와 Samsung이 공동 시연한 9 intra-band CA LTE-B는 삼성과 협력하여 구현한 기술로, 9개의 LTE-TDD 주파수를 결합하여 1Gbps (≈ 9x110Mbps)의 속도를 시연하였다. 3GPP LTE-A (Rel. 10)에서 5개 band까지의 5개 carrier로 CA를 할 수 있도록 정의하였고, 현재...
03/31/2015
23,112
LTE Identification에 대한 첫 번째 문서로 LTE Identification을 종류별로 분류하고 UE(User Equipment)와 ME(Mobile Equipment) ID에 대해 설정 과정과 포맷을 기술하였다. UE ID로 IMSI, GUTI, S-TMSI, IP 주소, C-RNTI를 기술하고 S1 및 X2 제어 평면에서 식별되는 UE ID들을 기술하였다. ME ID로는 IMEI를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UE ID와 ME ID 특성을 요약 정리하였다. 목차 1. 들어가는 글 2. LTE Identification 분류 3. UE ID 4. ME ID 5. 요약...
01/19/2011
129,511
지난 7월, 중국 상하이에서 MWC Shanghai 2015 (MWCS 2015)가 개최되었다. 넷매니아즈는 GSMA 미디어 파트너 자격으로 MWCS 2015에 참가하여 주요 사업자/벤더들의 LTE 진화와 5G 전략을 분석하였다. 이번 행사는 중국에서 열리는 만큼, 중국 사업자와 벤더의 4G/5G 전략은 어떠한가를 살펴보았다. 중국은 우리나라보다 2년 반 정도 늦은 2013년 12월에 China Mobile이 4G (TD-LTE) 서비스를 개시했고, 이후 현재까지 4G 가입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중국의 2/3/4G 가입자수 추이, China Mobile사의 2/3/4G 가입자 추이). 중국내 이통사의 절대 지존은 13억 6천만명의 인구 중 8억 2천만명(2015년 6월 기준)의 모...
08/05/2015
20,687
LTE Identification에 대한 세 번째 문서로 사용자 트래픽 전달과 관련된 Session ID들을 기술하였다. Session ID들로 EPS 베어러 ID, E-RAB(E-UTRAN Radio Access Bearer) ID, DRB(Data Radio Bearer) ID, LBI(Linked EPS Bearer Identity) 및 TEID(Tunnel Endpoint Identifier)를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Session ID들의 특성을 정리하고 전체 LTE 식별자에 대한 설명과 포맷을 요약표로 정리하였다. 목차 1. 들어가는 글 2. Session 식별 3. LTE Identif...
03/29/2011
88,681
Before we begin.. On March 10th,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MSIP) of the South Korea announced it would adjust the output power in unlicensed 900MHz band from the current 10mW to 200mW as an effort to stimulate the emerging IoT-related industry. The big 3, fueled by the announcement, are aggressively seeking ways to deploy IoT infrastructure. On March 18, SK Telec...
04/18/2016
43,581
[기고] LTE와 Wi-Fi간의 연동 및 병합 기술 1편. 3GPP 기반 (LTE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한 LTE와 와이파이간 병합) 3GPP 표준상의 ePDG (Evolved PDN Gateway) 3GPP 표준상의 TWAG (Trusted WLAN Access Gateway) 3GPP 표준상의 IFOM (IP Flow Mobility) 2편. Non-3GPP 기반 (단말이 LTE망과 독립적으로 병합 수행) IETF 표준상의 MPTCP (Multi-Path TCP) 삼성의 Download Booster 기술 (추정) 응용계층 기반의 Proxy를 이용한 기술 (추정)...
09/03/2014
42,163
3G Subscribers (3) 4.5G (1) 4G LTE (2) 5G (424) 5G 특화망 (124) 5g 특화망 (1) AI (24) ALTO (3) AR (3) ARP (9) AT&T (5) AWS (2) Akamai (16) Authentication (13) BSS (1) BT (5) Backbone (11) Backhaul (6) Big Data (4) Billing (1) Blockchain (3) Bridging (7) C-RAN/Fronthaul (61) CDN (47) CIoT (2) CPRI (13) Carrier Aggregation (7) Carrier Ethernet (11) Charging (4) China (1) China Mobile (5) Cisco (10) Cloud (6) Cloud Optimization (2) CoMP (11) Comcast (3) Connected Car (4) DHCP (15) DNS (18) Data Center (29) EDGE (35) EDge (1) EMM (14) EPS Bearer (8) Edge (6) Edge Computing (1) EoMPLS (4) EoS (4) Ericsson (3) Ethernet (9) FTTH (20) Femto Gateway (2) Fronthaul (1) GSLB (6) GiGAtopia (4) Gigabit Internet (61) Google (29) Google Global Cache (11) Google TV (2) HLS (10) HSDPA (2) HTTP (8) HTTP Adaptive Streaming (23) HTTP Progressive Download (7) Handover (12) Huawei (3) IEEE 802.1 (5) IGMP (5) IP (7) IP Allocation (14) IP Routing (32) IPSec (5) IPTV (88) IS-IS (1) IoST (5) IoT (159) Iot (1) KT (144) Korea (29) Korea ICT Market (20) Korea ICT Service (15) Korea ICT Vendor (3) L3 Switch (5) LG U+ (72) LSC (1) LTE (278) LTE Frequency (4) LTE Subscribers (4) LTE-A (34) LTE-A Pro (1) LTE-B (1) LTE-H (2) LTE-M (4) LTE-U (8) LoRa (13) MEC (58) MPLS (29) MPTCP (5) MWC 2013 (2) MWC 2015 (12) MWC 2016 (3) MWC 2017 (1) Metro Ethernet (24) Mobile IP (2) Mobile IPTV (3) Multi-Screen (7) Multicast (8) NAT (9) NB-IoT (12) NTT Docomo (3) Netflix (18) Network Protocol (119) Network Recovery (8) Network Slice (2) Network Slicing (7) New Radio (10) Nokia (1) O-RAN (2) OSPF (7) OTT (52) Openflow (2) Operator CDN (10) P2P (6) PCRF (3) PIM-SM (2) PS-LTE (3) Platform (2) Pooq (3) Privae 5G (1) Private 5G (173) Privatre 5G (1) QoS (18) RCS (5) RRH (1) Request Routing (7) Roaming (1) Router (8) SD-WAN (34) SDN/NFV (162) SIM (1) SK Broadband (5) SK Telecom (124) Samsung (12) Security (28) Self-Driving (4) Shortest Path Tree (2) Small Cell (7) Spectrum Sharing (3) Switching (6) TAU (7) TPS (13) Transcoding (3) Transparent Caching (17) UHD (15) VLAN (3) VPLS (7) VPN (10) VR (5) Verizon (5) Video Optimization (5) Video Pacing (5) Video Streaming (58) VoLTE (11) VoWiFi (3) WAN Optimization (3) Wholesale CDN (7) Wi-Fi (74) WiBro(WiMAX) (4) Wideband LTE (3) YouTube (36) blockchain (1) eICIC (2) eMBMS (8) ePDG (8) iBeacon (1) security (1) telecoin (1) u+ tv G (5) uCPE (2) 로컬 5G (3) 이음 5G (76) 이음 5G\ (1) 이음5G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