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 이어 오늘은 이동 통신사업자의 다양한 과금 정책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 소개 해 드리는 과금 정책은 국내외 3G, LTE, WiBro등의 이동 통신사업자 망에서 실제 적용되고 있는 방식입니다.
아래 설명에서 언급된 사용료(원)는 예(example)일뿐 실요금은 아닙니다.
1. Postpaid + Data Volume based Online Charging
통신 사업자(예): 국내 통신사업자 (KT, SKT, LG U+)
우리나라는 모두 후불제이고 다음과 같이 2가지 종류의 상품(Service Plan이라 부름)이 있습니다.
- 정액제: 기본료 5만 5천원에 무제한 데이터 사용 (아래 좌측 그림)
- 종량제: 기본료 4만 5천원에 월 3...
지난 시간에 X2 based Handover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오늘은 사용자 데이터의 경로 변경 위주로 S1 based Handover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S1 handover가 X2 handover와 구별되는 가장 큰 차이점은
Handover Preparation 과정에 EPC(MME, S-GW)가 관여를 하다는 사실과 (X2 handover는 EPC가 관여하지 않음)
핸드오버 과정 중에 UE로 향하는 DL 트래픽이 S-GW -> Source eNB1 -> S-GW -> Target eNB2 -> UE 라는 것입니다 (X2 handover는 S-GW -> Source eNB1 -> Target eNB2 -> UE)
1...
지난 시간에 Intra E-UTRAN(between eNB) handover 개념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오늘은 사용자 데이터의 경로 변경 위주로 X2 based Handover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1. Before Handover
UE는 이동 중에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트래픽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UL Traffic: UE -> Source eNB1 -> S-GW -> P-GW -> Internet
DL Traffic: Internet -> P-GW -> S-GW -> Source eNB1 -> UE
그리고 UE는 자신이 붙어 있는 Serving eNB인 eNB1에게 Measurement...
오늘날 무선 인터넷(Data Service)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술은 LTE/WiBro/3G가 아닌 바로 "무선랜" (= Wi-Fi = Wireless LAN) 입니다. 왜 그럴까요? 그건 LTE/WiBro/3G등은 통신 사업자가 그 망을 구축하기 위해서 "매우 매우" 많은 돈(조 단위)이 드는 반면 무선랜은 구축 비용이 매우 저렴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통신사업자가 구축하는 Wi-Fi Hotspot을 위한 무선랜 표준 이야기와 기본 용어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본 내용은 무선랜에 대한 공부를 시작하시는 분들에게 큰 틀을 보여 드리기 위함이고, 이후 각 기술부분에 대한 상세 설명은 이후에 차차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일단 "Wi-Fi"와 "Wireless LAN" 용어의...
손장우 (Harrison Jangwoo Son)
넷매니아즈 | (주)엔앰씨컨설팅그룹 대표이사
son@netmanias.com
지난 6월 5일 Apple은 iOS 17버전과 iPadOS 17에서 사설 5G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기능을 추가했다고 발표했다. 사설 5G가 산 하나를 또 넘었다.
Apple의 이번 업데이트에 관해 살펴보자.
<Apple의 Private 5G 지원 내용들>
Private 5G 지원 단말
이 새로운 기능의 도입으로 iOS 17, iPadOS17 단말 (iPhone 13, 14, iPad Pro 12.9 6세대 등)은 이제 사설 5G망에 원활하게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사설...
손장우 (Harrison Jangwoo Son)
넷매니아즈 | (주)엔앰씨컨설팅그룹 대표이사
son@netmanias.com
일본 NEC가 올해 1월 20일에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한 로컬 5G 일체형 기지국(Sub-6, mmWave)과 5G 코어를 포함한 Local 5G Starter Pack의 판매를 개시했다.
Source: NEC
로컬 5G 도입에 가장 큰 문제점중에 하나가 로컬 5G 장비가 고가이어서 수억에서 10억원 정도의 초기 투자 비용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매우 부담이 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5G 장비를 무료로 넣어주고 월 정액을 받는 구독형 로컬 5G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