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포트 | 기술문서 | 테크-블로그 | 원샷 갤러리 | 링크드인 | 스폰서 컨텐츠 | 네트워크/통신 뉴스 | 인터넷자료실 | 자유게시판    한국 ICT 기업 총람 |

제품 검색

|

통신 방송 통계

 
 
 
섹션 5G 4G LTE C-RAN/Fronthaul Gigabit Internet IPTV/UHD IoT SDN/NFV Wi-Fi Video Streaming KT SK Telecom LG U+ OTT Network Protocol CDN YouTube Data Center
 

2025

5G 특화망

포탈

Private 5G/이음 5G

 포탈홈

  넷매니아즈 5G특화망 분석글 (156)   5G특화망 4가지 구축모델   산업분야별 5G특화망 활용사례  5G특화망 정량적 도입효과  |  [5G 특화망 벤더Samsung | HFR | more
 

해외

  국가별 사설5G 주파수 [국가별 구축현황] 일본 | 독일 | 중국미국 | 프랑스 | 영국  [사설5G 사업자] Verizon | AT&T | DT | Telefonica | AWS | Microsoft | NTT동일본 | NTT Com    
 

국내

  5G 특화망 뉴스 | 국내 5G 특화망 구축 현황  UPDATED  | 국내 5G 특화망사업자 현황 (19개사) | 국내 자가구축사례 일람 | 국내 특화망 실증사업사례 일람 | 5G 특화망 정책
 
 

[5G 특화망 구축 사례]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 | 반월시화산단 삼성서울병원 | 롯데월드 | 한국수력원자력 | 해군본부 | 한국전력공사 | 머크 바이오센터 more  [이통사] KT

 
 
스폰서채널 |

 HFR mobile의 5G 특화망 솔루션 (my5G)  Updated   |   뉴젠스의 5G 특화망 구축 및 운영 서비스  NEW  

  스폰서채널 서비스란?
banner
banner
SEARCH
삼성전자의 조성연님과 노키아의 원성환님이 보내주신 세번째 기고글입니다. 읽기 쉽고 유익한 기고글을 보내주신 두 분께 감사드립니다. 조성연, 원성환님의 기고글 모두보기 지난 시간에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 발언권을 허용 받은 지휘관 또는 보고자가 말하고 이외 그룹 통신 참여자들은 음성 스트림을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사용자 별로 음성 품질을 보장하는 베어러(GBR bearer)를 설정하였을 경우, 일정 수 이상의 사용자를 수용할 수 없는 셀에 업무 수행을 위하여 수백/천의 그룹 통신 참여자가 몰렸을 때, MBMS를 통하여 이 그룹 통신 참여자들에게 하향링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번 시간에는 재난 안전망이 다루어야 하는 또...
08/08/2016
22,847
현재 통신 기술 중 뜨겁게 논의되는 기술은 `5세대(5G)`, `소프트웨어정의네트워크(SDN)` 등이다. 모두 차세대 이동통신기술이라 불린다. 5G 기술은 음성이나 데이터 제공 능력으로 봤을 때 현재 4세대(4G)로 충분해 보인다. 빠른 속도를 사용자가 원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서는 기술이 시장보다 앞선다. 하지만 5G 킬러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우드와 사물인터넷(IoT)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마켓 디맨드 기술이 될 수 있다. 시장이 필요로 한 기술이란 의미다. SDN는 한 개 칩에 컴퓨터 중앙처리장치를 80개까지 집적시켜 네트워크 장비를 소프트웨어로 만들어 서비스하는 개념이다. 일부 거론 되고 있는 SDN의 문제점은 이 기술에 기존 망 관리 체계와 호환성이 거의 없고, SDN 컨트롤러...
08/04/2016
15,738
Earlier this year in May, the South Korean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MSIP) adjusted the maximum transmit power in the 900 MHz unlicensed band from 10 mW to 200 mW, offering frequencies dedicated for wide area IoT purpose. Initially, 6.5 MHz (917 - 923.5 MHz) was offered, and additional 6 MHz (940 - 946 MHz) is scheduled to be offered in the 2nd half of the year. The de...
08/03/2016
31,951
SK 텔레콤은 6월말 IoT 전용망으로 LoRa 전국망을 구축 완료 후, 7월초 LoRa 망 상용화 선포식을 갖고, 요금제와 올 하반기 상용화 예정인 20여개 LoRa 서비스 roadmap을 발표하였다. 올 3월 KT와 SK 텔레콤 양사의 LTE-M 망이 상용화되었으나 아직 LTE-M 서비스 상용화 소식이 요원하던 바, LoRa 서비스 roadmap 발표는 상용화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주었다. 7월로 예정되었던 상용화 첫 주자는 • 이미 시범 서비스 중인 가스 AMI 서비스와 • Safe Watch 서비스이다. (아직 공식적인 상용화 소식은 없지만,) LoRa 전국망 구축 한 달을 맞아 SK 텔레콤의 target IoT와 전략을 간단히 정리해본다. [들어가는 글] 올해 5...
08/01/2016
30,835
국내 통신 3사는 2011년 LTE 서비스 출시 후, 2G/3G보다 ARPU가 높은 LTE 가입자의 증가로 전체 Mobile ARPU와 Mobile Revenue 증진의 달콤함을 몇 년간 누려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Mobile 가입자수 증가의 정체, 높은 ARPU를 가져다 줬던 LTE 가입자들의 저가폰, 저가요금제로 전환으로 인해 Mobile ARPU 증가가 정체되고 Mobile Revenue가 감소하고 있다. 폰 위주의 이동통신 산업 (폰 판매, 회선이용료)의 역성장을 막아줄 새로운 서비스 창출과 BM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08/01/2016
5,939
삼성전자의 조성연님과 노키아의 원성환님이 보내주신 두번째 기고글입니다. 읽기 쉽고 유익한 기고글을 보내주신 두 분께 감사드립니다. 조성연, 원성환님의 기고글 모두보기 지난 기고에서는 대표적인 재난 안전 관련 기술인 재난 문자, 응급 콜, 재난 안전 망의 개요를 다뤘다. 또한 재난 안전 망을 통해 주로 제공되는 서비스는 mission critical push to talk (MCPTT)이며, 이 서비스는 수백에서 수천 명의 사용자가 몰리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지원되어야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번 기고에서는 재난 안전 망 및 MCPTT 서비스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다뤄보고, 많은 사용자가 몰리는 상황에서 안정적으로 MCPT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어떤 기술이 재난 안...
07/15/2016
41,428
삼성전자의 조성연님과 노키아의 원성환님이 보내주신 기고글입니다. 시간을 내어 기고글을 보내주신 두 분께 감사드립니다. 조성연, 원성환님의 기고글 모두보기 "재난 안전 망을 위한 주파수가 할당되었다, 재난 안전 망 서비스 시연이 있었다" 등의 뉴스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재난 안전 망이란 무엇일까? 재난 안전 망을 이야기하기에 앞서 재난 안전 망과 흔히 혼동되고 개인적으로 질문도 많이 받는 재난 안전 관련 기술 세 가지인 재난문자, 응급 콜, 재난 안전 망을 먼저 구별해 보겠다. 이 세 가지 서비스의 가장 큰 차이점은 누구를 대상으로 하는 가와 누가 발신하는 서비스인가 이다. 재난 문자와 응급 콜은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이고 재난 안전 망은 재난과 안...
07/05/2016
26,405
SK Telecom이 6월말까지 LoRa 전국망을 구축완료하고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소물인터넷 서비스를 개시한다. SK Telecom의 LoRa망 기반의 소물인터넷 (IoST: Internet of Small Things) 생태계의 확산 전략은 크게 단말 전략(LoRa chip/module/device), 플랫폼 전략(Thingplug = SK Telecom IoT Platform 활성화), 회선료 전략(LoRa 회선 요금제)으로 나누어지는 데, 본 블로그글에서는 SK Telecom의 단말 전략 (LoRa chip/module/device) 정책에 관해 살펴본다. SK Telecom은 IoT 서비스별 속성에 따라 3개의 LoRa 전용 모듈을 정의했다. 아래 표에 3개 LoRa module ty...
07/01/2016
30,899
The big 3 operators in South Korea, ST Telecom, KT and LG U+, each with a global standard oneM2M-certified IoT platform, are now aiming for global market. There is much attention in the industry towards which platform provider can build more partnerships with SMEs and startups, which is essential to present new, distruptive ideas and services. In order for the operators to expand the marke...
06/20/2016
32,636
During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5G pilot service will be offered by means of 8-band CA that combines 8 100MHz carriers, supporting over 10Gbps on devices - more than 33 times faster than the current LTE's maximum 300Mbps. The drastic speed improvement will make features like 360 degree realistic videos, realistic content services powered by VR and AR, etc. a reality. In additio...
06/08/2016
30,958
On June 20th, SK Telecom unveiled its strategies for utilizing the frequencies in 2.6GHz that it acquired at the last auction, and for developing more evolved next-generation network. The company has become an operator with most frequency in 2.6GHz band in the nation after acquiring additional frequency at the auction held earlier this year. Once new network utilizing these wider bandwidth...
06/01/2016
33,333
[Issue analysis-1] IoST era begins with initiatives for a nationwide IoT network deployment IoT, the next generation growth engin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industry, is finally unveiled. South Korea-based SK Telecom and KT, geared up with cutting-edge IoT technologies including LoRa, LTE-M, and NB IoT, etc., are to be in fierce competition to deploy the nation's (and world's) fir...
04/21/2016
50,877
Before we begin.. On March 10th,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MSIP) of the South Korea announced it would adjust the output power in unlicensed 900MHz band from the current 10mW to 200mW as an effort to stimulate the emerging IoT-related industry. The big 3, fueled by the announcement, are aggressively seeking ways to deploy IoT infrastructure. On March 18, SK Telec...
04/18/2016
50,899
들어가기에 앞서.. 지난 3월 16일 미래부가 IoT 신산업 활성화를 위해 IoT 주파수로 활용될 900 MHz 비면허 대역의 출력 기준을 10 mW에서 200 mW로 올린다고 예고하였다. 미래부의 IoT 신산업 활성화 추진에 따라 이동통신 3사가 적극적으로 IoT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미래부 발표 직후, 3월 18일 SK 텔레콤은 세계 최초로 IoT 전용 전국망을 연내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이 IoT 전용 전국망은 LoRa 기반 저전력 광역통신망 (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N)으로 LTE 망과는 별도로 구축되며 LTE를 무선 backhaul로 이용한다. 3월 28일에는 LG 유플러스가 LG 이노텍과 소물인터넷 전용 LTE 통신모듈을 출시하며 이 모듈...
04/08/2016
61,983
KMW의 이문식 팀장님과 SK 텔레콤 최오열 매니저님이 기고해주신 글입니다. 바쁘신 와중에 기고글을 작성해주신 두 분께 감사드립니다. 차례 1. 능동 안테나시스템 (AAS) 개발 배경 2. 능동 안테나 시스템 (AAS) 개념 3. 시스템 개발 및 특징 4. Field Trial 5. 향후 계획 능동 안테나 시스템 (Active Antenna System; AAS)은 기지국용 안테나의 각 소자마다 RF 능동 모듈이 결합되어 배열되어 있다. 디지털 빔포밍 (Beamforming)을 통해 셀 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빔 패턴을 구현할 수 있고 수직적 섹터구분 (Vertical Sectorization)을 통해 주파수 효율을 증대시킨다. 본고를 통해 당사에서 개발한 AAS의 개념...
04/01/2016
29,798
[공지] 아래 그림은 다양한 공개 자료들을 토대로, 넷매니아즈에서 구성한 망도로, 실제 망도와 다를 수 있습니다. [TIP] 마우스를 로 이동하면 해당 정보가 나옵니다. 관련 기사 • GiGA LTE, GiGA WiFi와 LTE가 만나 무선의 기가 시대를 연다, 2015 • KT 기가토피아 1년 - 황창규 전략은 성공했나?, 2015 • KT, 세계 최초 기존 전화선에서 광랜보다 3배 빠른 인터넷 속도 제공, 2014 (전화선 기반 수백Mbps 서비스 출시) • 케이블 교체 공사없이 제공되는 기가급 (300~500Mbps) 인터넷 서비스란?, 2014 • 시스코, KT에 ‘광 전송&r...
03/30/2016
39,584
마우스를 로 이동하면 해당 정보가 나옵니다. * SK 텔레콤에 장비를 공급한 벤더는 장비 사진, 장비모델명, 망구성도를 보내주세요. 위 SK 텔레콤 에코시스템 그림에 귀사 장비의 정보를 추가해드립니다. webmaster@netmanias.com으로 자료와 담당자 정보를 보내주시면 됩니다.
03/29/2016
25,193
마우스를 로 이동하면 해당 정보가 나옵니다. * SK 브로드밴드에 장비를 공급한 벤더는 장비 사진, 장비모델명, 망구성도를 보내주세요. 위 SK 브로드밴드 에코시스템 그림에 귀사 장비의 정보를 추가해드립니다. webmaster@netmanias.com으로 자료와 담당자 정보를 보내주시면 됩니다.
03/29/2016
21,072
On March 18th,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MSIP), a ministry of South Korean government, finally revealed its plan to hold a much overdue auction for mobile spectrum at the end of April, in 2 years and 8 months after the last one in August 2013. At the auction, a total of 140 MHz (2x70 MHz) across 5 blocks will be offered. Each of the Korean big 3 operators will have a cha...
03/28/2016
40,938
3G Subscribers (3) 4.5G (1) 4G LTE (2) 5G (452) 5G Private 5G (1) 5G 특화망 (148) 5g 특화망 (1) AI (25) ALTO (3) AR (3) ARP (9) AT&T (5) AWS (2) Akamai (16) Authentication (13) BSS (1) BT (5) Backbone (11) Backhaul (6) Big Data (4) Billing (1) Blockchain (3) Bridging (7) C-RAN/Fronthaul (61) CDN (47) CIoT (2) CPRI (13) Carrier Aggregation (7) Carrier Ethernet (11) Charging (4) China (1) China Mobile (5) Cisco (10) Cloud (6) Cloud Optimization (2) CoMP (11) Comcast (3) Connected Car (4) DHCP (15) DNS (18) Data Center (29) EDGE (35) EDge (1) EMM (14) EPS Bearer (8) Edge (6) Edge Computing (1) EoMPLS (4) EoS (4) Ericsson (3) Ethernet (9) FTTH (20) Femto Gateway (2) Fronthaul (1) GSLB (6) GiGAtopia (4) Gigabit Internet (61) Google (29) Google Global Cache (11) Google TV (2) HLS (10) HSDPA (2) HTTP (8) HTTP Adaptive Streaming (23) HTTP Progressive Download (7) Handover (12) Huawei (3) IEEE 802.1 (5) IGMP (5) IP (7) IP Allocation (14) IP Routing (32) IPSec (5) IPTV (88) IS-IS (1) IoST (5) IoT (160) Iot (1) KT (144) Korea (29) Korea ICT Market (20) Korea ICT Service (15) Korea ICT Vendor (3) L3 Switch (5) LG U+ (72) LSC (1) LTE (278) LTE Frequency (4) LTE Subscribers (4) LTE-A (34) LTE-A Pro (1) LTE-B (1) LTE-H (2) LTE-M (4) LTE-U (8) LoRa (13) MEC (58) MPLS (29) MPTCP (5) MWC 2013 (2) MWC 2015 (12) MWC 2016 (3) MWC 2017 (1) Metro Ethernet (24) Mobile IP (2) Mobile IPTV (3) Multi-Screen (7) Multicast (8) NAT (9) NB-IoT (12) NTT Docomo (3) Netflix (18) Network Protocol (119) Network Recovery (8) Network Slice (2) Network Slicing (7) New Radio (10) Nokia (1) O-RAN (2) OSPF (7) OTT (52) Openflow (2) Operator CDN (10) P2P (6) PCRF (3) PIM-SM (2) PS-LTE (3) Platform (2) Pooq (3) Privae 5G (1) Private 5G (201) Privatre 5G (1) QoS (18) RCS (5) RRH (1) Railway (1) Request Routing (7) Roaming (1) Router (8) SD-WAN (34) SDN/NFV (162) SIM (1) SK Broadband (5) SK Telecom (124) Samsung (12) Satellite (1) Security (28) Self-Driving (4) Shortest Path Tree (2) Small Cell (7) Spectrum Sharing (3) Switching (6) TAU (7) TPS (13) Transcoding (3) Transparent Caching (17) UHD (15) VLAN (3) VPLS (7) VPN (10) VR (5) Verizon (5) Video Optimization (5) Video Pacing (5) Video Streaming (58) VoLTE (11) VoWiFi (3) WAN Optimization (3) Wholesale CDN (7) Wi-Fi (74) WiBro(WiMAX) (4) Wideband LTE (3) YouTube (36) blockchain (1) eICIC (2) eMBMS (8) ePDG (8) iBeacon (1) security (1) telecoin (1) u+ tv G (5) uCPE (2) 로컬 5G (3) 이음 5G (100) 이음 5G\ (1) 이음5G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