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time we will give you a brief overview of an LTE Tracking Area (TA) and Tracking Area Update (TAU).
While an LTE device (UE) is in active state (i.e. while communicating, or while in EMM-Registered/ECM-Connected/RRC-Connected state in LTE terms), its location is known by the LTE network at cell level (i.e. on a cell granularity), e.g. in cell2 in eNB1.
However, while the UE is in idle...
본 문서는 IP 주소 할당 방법의 응용편으로, 지역적으로 떨어져 있는 도시들로 구성된 LTE 망에서 IP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을 다룬다. 유동 IP 주소를 할당하는 경우, 사용자가 어디에서 접속을 하든 P-GW가 동적으로 선택되고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받아 PDN에 연결된다. 고정 IP 주소를 할당하는 경우에는, 항상 동일한 P-GW가 선택되고 동일한 IP 주소를 할당받아 PDN에 연결된다. 두 도시로 구성된 LTE 망을 예로 들어 IP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과 절차를 설명하고, 차이점을 살펴본다.
목차
1. 시작하는 글
2. IP 주소 할당 종류 (Types of IP Address Allocati...
On June 10, 2013, LG U+ launched U+ HDTV multi-channel service (U+ tv G 4 Channel Service) that enables users to watch 4 channels at the same time through home STB. Later in July, it introduced the same multi-channel service in a mobile version based on LTE-A. In this post, we will analyze the U+ HDTV streaming on mobile devices that support LTE-A.
U+ HDTV service offers two viewing experi...
LG U+는 올해 6월 10일에 댁내 STB를 통해 4 채널을 동시 시청하는 U+ HDTV 멀티채널 서비스(U+ tv G 4 Channel Service)를 개시하였고 7월에는 모바일 버전 (LTE-A기반) 서비스도 개시하였다. 본 블로그글에서는 LTE-A 지원 모바일 단말에서 U+ HDTV 서비스의 스트리밍 방식에 대해 분석해 본다.
U+ HDTV 서비스는 아래 그림처럼 4개의 분할 화면 시청과 단일 채널 시청의 두 가지 Viewing Experience를 제공한다. 4개 분할 화면은 동시에 4개의 채널을 시청할 수 있으며 4개의 채널 각각은 이용자가 직접 그때 그때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대단한 개인화 서비스이다). 두 모드 모두 화질과 시청감은 매우 만족이였다.
이 두 가지...
최근 들어 YouTube가 비디오 전달 방식을 지속적으로 변경/진화시키고 있다. 작년까지는 HTTP Progressive Download 방식(마치 데이타 파일을 다운로드하듯이 하나의 비디오 파일을 한 번의 요청으로 다운로드함)의 대명사가 YouTube였는 데 올해 들어 다양한 변화 (Chunk 방식으로 전환, Adaptive Streaming 적용)를 꾀하고 있다.
이 블로그글에서는 그 중에서 "Chunk 방식으로 전환"에 관해 살펴보도록 한다.
1. 기존의 YouTube 비디오 전달 방식
기존 (2013년 4월 이전)의 YouTube의 단말 유형별/해상도별 비디오 파일 요청 및 전달 방식은 아래 표와 같다.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단말이 PC인 경우를 살펴...
본 문서는 사용자가 LTE 망에 접속할 때 LTE 망이 사용자에게 IP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을 다룬다.
IP 주소 할당 방법을 IP 주소를 할당하는 주체에 따라 유동 IP 주소 할당과 고정 IP 주소 할당으로 구별하고, 두 방법의 차이점과 IP 주소를 할당하는 절차를 설명한다.
목차
1. 시작하는 글
2. IP 주소 할당 종류 (Types of IP Address Allocation)
3. 유동 IP 주소 할당 (Dynamic IP Address Allocation)
4. 고정 IP 주소 할당 (Static IP Address Allocation)
5. 마치는 글...
We talked about the basic operations of DHCP in our previous blog post, "What is DHCP?”. Today, we will find out what kind of agent a DHCP relay agent is.
Generally, DHCP messages are broadcasted. So, in order for the messages to be exchanged between a DHCP client (PC) and DHCP server, both the client and server have to reside on the same subnet. That is because routers do not fo...
Sandvine has recently reported that, in the second half of 2012, Netflix and YouTube accounted for 48% (33% and 15% respectively) of the total Internet traffic in North America, making telecom operators' IP network look like a video transport network rather the Internet. With an ever-increasing number of users and higher-resolution videos, the traffic of these two (and hence the delivery c...
본 문서에서는 PCC(Policy and Charging) 규칙 중 과금 규칙이 Offline 과금인 경우에 대해 과금 절차와 과금 정보를 다룬다. 먼저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가 P-GW로 PCC 규칙을 전달할 때 전달되는 과금 규칙을 설명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고 난 후 P-GW가 OFCS(Offline Charging System)로 CDR(Charging Data Record)을 전달하는 절차를 기술하고 CDR 파라미터를 정리한다.
목차
1. 시작하는 글
2. 과금 동작 개요: Offline
3. Offline 과금 절차...
Today's topic is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and GUTI (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fier). These two are parameters (identifiers) used in identifying UEs in LTE networks.
What is IMSI?
IMSI is a unique ID that globally identifies a mobile subscriber. It is composed of two parts, PLMN ID and MSIN, as shown in Figure below. A PLMN ID is an ID that globally identi...
All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s (e.g. Wi-Fi, WiBro and LTE provide “user authentication” and “security over radio link (integrity check (protection/verification) and ciphering (or encryption))” features.
User authentication is required for network operators to ensure that only those who subscribe to them (i.e. paid subscribers) can access their networks. In wir...
본 문서에서는 PCC 규칙(Policy and Charging Control Rule)과 PCC 규칙을 기반으로 한 PCC 절차를 다룬다. 사용자가 LTE 망을 통하여 인터넷 서비스와 음성 서비스를 이용할 때 PCC 절차를 기술하고 PCC 규칙이 적용되어 정책 제어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목차
1. 시작하는 글
2. PCC 규칙
3. PCC 절차
4. 정책 제어에 따른 IP 패킷 Flow 동작
5. EPS Entity Information
6. 마치는 글
1. 시작하는 글
LTE 단말을 구매한 사용자가 이동통신 사업자(이하 사업자)...
Obviously, the hottest issue in mobile communication today is LTE. All three top telecommunication operators in Korea are trying hard to promote their brands, each containing the technical term "LTE" somewhere, for greater exposure of the brands to the public. So, we will briefly go over what network elements make the LTE network today.
The Figure below is an illustration of an LTE Network R...
As we need a phone number to make a call to someone, we need an address to communicate with a network host over the Internet. This address is called an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Generally, IP addresses are dynamically allocated to clients accessing the Internet, through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a protocol designed for dynamic allocation of IP addresses, as defined in...
■ MWC 기술 분석 2: LTE-Advanced – Carrier Aggregation
MWC 2013 기술 분석 (1편)에서 Service Aware RAN에 대해 알아보았었지요. 오늘은 LTE-Advanced 기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LTE-Advanced 기술”이란 용어는 Air, 네트워크 구조, 서비스 등 여러 분야에서 바라볼 수 있어 광범위하죠. 우선 LTE-Advanced (이하 LTE-A) 시스템은 LTE 시스템에 비해 훨씬 높은 throughput (또는 용량)을 갖습니다. 높은 throughput을 얻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몇 가지 예를 들어보죠.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묶어서 동시에 사용, 즉 더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