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포트 | 기술문서 | 테크-블로그 | 원샷 갤러리 | 링크드인 | 스폰서 컨텐츠 | 네트워크/통신 뉴스 | 인터넷자료실 | 자유게시판    한국 ICT 기업 총람 |

제품 검색

|

통신 방송 통계

 
 
 
섹션 5G 4G LTE C-RAN/Fronthaul Gigabit Internet IPTV/UHD IoT SDN/NFV Wi-Fi Video Streaming KT SK Telecom LG U+ OTT Network Protocol CDN YouTube Data Center
 

2025

5G 특화망

포탈

Private 5G/이음 5G

 포탈홈

  넷매니아즈 5G특화망 분석글 (156)   5G특화망 4가지 구축모델   산업분야별 5G특화망 활용사례  5G특화망 정량적 도입효과  |  [5G 특화망 벤더Samsung | HFR | more
 

해외

  국가별 사설5G 주파수 [국가별 구축현황] 일본 | 독일 | 중국미국 | 프랑스 | 영국  [사설5G 사업자] Verizon | AT&T | DT | Telefonica | AWS | Microsoft | NTT동일본 | NTT Com    
 

국내

  5G 특화망 뉴스 | 국내 5G 특화망 구축 현황  UPDATED  | 국내 5G 특화망사업자 현황 (19개사) | 국내 자가구축사례 일람 | 국내 특화망 실증사업사례 일람 | 5G 특화망 정책
 
 

[5G 특화망 구축 사례]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 | 반월시화산단 삼성서울병원 | 롯데월드 | 한국수력원자력 | 해군본부 | 한국전력공사 | 머크 바이오센터 more  [이통사] KT

 
 
스폰서채널 |

 HFR mobile의 5G 특화망 솔루션 (my5G)  Updated   |   뉴젠스의 5G 특화망 구축 및 운영 서비스  NEW  

  스폰서채널 서비스란?
banner
banner
SEARCH
7월 18일, 검색 자이언트인 구글이 1Gbps FTTH 서비스의 내용과 요금을 7월 26일에 공개하겠다고 발표했다. 구글은 2010년에 FTTH (Fiber-To-The-Home) 네트워크 구축 계획을 발표했고 최초 도시로 미국 Kansas시를 선정한 후 지금까지 광케이블을 부설(전봇대 위로 케이블을 까는 것)해왔다. 적용된 FTTH 기술은 WDM-PON이며 한 가입자당 양방향 1Gbps의 대역폭을 제공한다. 미국의 평균 인터넷 회선 속도가 10Mbps인 점을 감안하면 100배 빠른 것이다. 전세계의 통신사업자들도 아직 서비스하지 못하고 있는 1Gbps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이 우선 놀랍고 검색 자이언트인 구글이 통신사업자화 되는 것도 놀랍다. [sour...
07/19/2012
31,803
제가 요즘 NAT Traversal에 꽃혀 이 쪽 글만 올리다 보니 지루한 감이 없지 않아 오늘은 다른 주제의 기술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오늘 주제는 무선 통신 사업자 망(LTE & Wi-Fi)에서의 Hot-Lining 사례입니다. Hot-Lining이란? Hot-Lining이란 사용자가 접속하고자 하는 목적지(예. www.naver.com)를 통신 사업자가 지정한(의도한) 특정 목적지(예. portal.lguplus.com)로 변경하는 행위이며, 따라서 Hot-Lining에 의해 사용자는 사업자가 지정한 목적지 외에 다른 곳으로 갈 수 없게 됩니다. 한마디로 인터넷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사업자가 의도한 특정 목적지를 Captive Portal이라 부릅니다. 그...
07/18/2012
31,364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EMM 시나리오와 11가지 EMM Case들 문서를 참고하시고 본 문서를 읽기 바랍니다. EMM Case 6, 즉 intra-LTE 환경에서 발생하는 핸드오버 중 X2 핸드오버 절차를 다룬다. X2 프로토콜에서 핸드오버와 관련된 기능을 살펴보고, X2 핸드오버 절차를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EPC 개입 없이 eNB 간 핸드오버를 준비하고 실행하는 과정,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핸드오버 단절 시간 동안 DL 패킷이 eNB간 direct 터널을 통하여 forwarding 되는 과정 및 핸드오버 후 EPC가 개입하여 EPS 베어러 경로를 변경하는 과정을 기술하고, X2 핸드오버 절차 전•후로 EPS 엔터티 내에 정보들이 어떻게 변경되는지 살펴본다....
07/05/2012
73,191
본 기술 문서는 HFR(www.hfrnet.com)에서 발표한 자료로, LTE, Wi-Fi의 기본과 3GPP 기반의 S2b 인터페이스 기반의 연동 구조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목차 1. LTE Overview - Network Reference Model - Authentication and Security - EPS Bearer - QoS - Handover 2. Wi-Fi Overview - Network Architecture - Handover 3. Comparison (LTE vs. Wi-Fi) 4. Tunneling Technology for Mobile Network 5. LTE and Wi-Fi Inter...
06/29/2012
54,765
지난 두편에 걸쳐 LTE 서비스에 대한 Offline Subscription과 Online Subscription 절차를 알아 보았는데요. 오늘은 이 두 방식에 대한 절차적인 & 기술적인 비교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Offline & Online Subscription 정의 Offline과 Online을 구분짓는 기준은 "서비스 가입 행위를 어떤 방식으로 하느냐?"이며, 서비스를 사용할 단말로 가입을 하는 경우 Online Subscription이고, 그 외의 수단 즉, 대리점 방문, 전화, 다른 단말(예. 유선 PC)을 통한 가입은 모두 Offline Subscription으로 정의합니다. 지난 시간에도 말씀드린 바와 같이 국내 통신사업자는 모두 Offline Subscript...
06/28/2012
19,158
지난 시간에 이어 오늘은 Online Subscription 절차에 대해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Online Subscription은 사업자의 환경과 정책에 따라 다양한 로직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오늘 소개는 그 중 하나의 예라고 보시면 될 듯 합니다. Online Subscription 절차 Online Subscription이란 사용자가 Open Market에서 LTE 단말(UE) 구매 후, 해당 단말로 사업자 Portal(Web 서버이고 Captive Portal이라 부름)에 접속하여 자가 개통을 하는 방식입니다. 자가 개통이 완료되기 전까지 해당 사용자는 사업자 Portal에만 접속할 수 있을 뿐 다른 인터넷 서비스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아래 Online Subscriptio...
06/27/2012
30,150
이번 시간에는 이동 통신 사업자의 LTE 서비스 가입(Subscription) 절차에 대해서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서비스 가입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Offline Subscription: 대리점 방문 혹은 전화(콜센터)를 통해 서비스에 가입하는 방법으로 국내 통신사업자는 모두 이 방법을 사용하고 있죠. Online Subscription: Open Market에서 단말(USIM 포함)을 구매하여 자가 개통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구매한 LTE 단말을 이용하여 사업자 Portal에 접속 후 가입 정보를 입력하고 상품(Service Plan) 및 결제 방법을 고르는 식입니다. 대리점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지 않은 동남아, 중동 지역의 사업자에서 주로 이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
06/26/2012
29,650
지난 시간에 이어 오늘은 L3 스위치의 IP 라우팅(IP forwarding) 과정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과정이 가장 복잡합니다. 두 눈 크게 뜨시고~ ^^* Network Topology 지난 시간과 동일한 구성입니다. 단지 패킷 흐름이 SVR1(1.1.1.10)에서 SVR4(2.1.1.30)으로 전달된다는 것만 다릅니다. 2. IP Routing 2.1 서버 SVR1에서 SVR4로 패킷 전달: (1) IP 패킷을 수신한 R1은 목적지 VLAN에 속한 포트들로 ARP Request를 Flooding ① SVR1에서 목적지 2.1.1.30인 SVR4로 패킷을 전송하려 합니다. ② SVR1의 Routing Table looku...
06/21/2012
75,822
지난 시간에는 라우터의 IP 라우팅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오늘과 다음 시간에는 L3 스위치에서의 Ethernet 스위칭(L2 bridging) 및 IP 라우팅(IP forwarding) 과정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설명에 앞서 용어 정리부터 해보겠습니다. IP Router: IP 패킷의 목적지 주소(Destination IP address)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하는 장비이며, 일반적으로 Router는 Ethernet 뿐만 아니라 SONET/SDH(POS), ATM, Serial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페이스(포트) 타입을 제공합니다. 보통 L3 장비라 부릅니다 (L3 = IP). Ethernet Switch: Ethernet 패킷의 목적지 주소(Destination MAC ad...
06/19/2012
72,116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EMM 시나리오와 11가지 EMM Case들 문서를 참고하시고 본 문서를 읽기 바랍니다. 본 문서를 시작으로 앞으로 세 편에 걸쳐 EMM Case 6, 즉 LTE 망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중인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현재 접속되어 있는 셀과 접속을 끊고 같은 Tracking Area(TA)에 속한 이웃 셀로 접속하여 계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핸드오버(Handover) 절차를 다룬다. 이번 편에서는 LTE 핸드오버와 관련된 기본 개념 및 절차를 간단히 살펴보고 다음 편에서 다룰 핸드오버 종류와 범위를 정의한다. 목차 1. 시작하는 글 2. Overview of LTE Handover...
06/14/2012
70,187
지난 시간에 이어 오늘은 라우터 내부의 IP 패킷 전달 로직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편: 라우터 구조 소개 2편: IP 라우터의 패킷 포워딩 과정 (오늘 글) 3편: L3 스위치의 L2(Ethernet) 스위칭 과정 4편: L3 스위치의 IP 포워딩 과정 Network Topology 패킷 전달 과정 설명을 위한 망도(Network Topology)를 아래 좌측과 같이 그려 보았습니다. 라우터 R1을 중심으로 하단 ge1/1 ~ ge1/4 포트를 통해 서버가 연결되어 있고, 상단 ge2/1, ge2/2 포트에 라우터 R2, R3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R2에는 100.1.1.0/24 네트워크가, R3에는 200.1...
06/13/2012
69,904
통신 사업자가 CDN Federation을 통해 CDN Footprint를 글로벌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데 반해 글로벌 CDN 사업자는 기존의 글로벌 CDN(아카마이의 경우 전세계 1,000여개 ISP의 IDC에 100,000여대의 CDN 서버를 구축)을 무기로 통신사업자 CDN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올해부터 아카마이, 라임라이트, 에지캐스트 등의 글로벌 CDN 사업자는 자사의 검증된 CDN 솔루션을 통신사업자에게 판매하는 Licensed CDN 서비스와 일정 기간 운영까지 수행해주는 Managed CDN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Licensed CDN 서비스는 기존의 글로벌 CDN 로직을 통신사업자향으로 특화시켜 재개발한 CDN 솔루션 S/W를 판매, 설치 및 필요한 항목들을...
06/09/2012
26,926
금주 월요일 (6월 4일)에 미국 인터넷 트래픽의 30%를 발생시키는 세계 최대 OTT(인터넷 비디오 사업자)인 Netflix가 통신 사업자에게 자사가 개발한 Neflix Cache를 무료로 공급하는 Netflix Open Connect CDN을 출시했다. (Netflix Blog, Open Connect CDN Deployment Guide, Netflix Content Delivery) Netflix는 그림에 보이는 4U짜리 서버(HTTP Streaming Capacity: 8.5Gpbs, Hard Disk: 3TB x 36개로 100TB,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0Gbps, OS: FreeBSD v9.0, 웹서버: nginx, Request Router: BIRD Internet Rou...
06/07/2012
32,927
2000년대 초반에 L3 스위치(Ethernet 스위치 + IP 라우터) 개발 회사에서 IBM NP4GS3C라는 Network Processor(그 당시 칩 하나에 $500이면 상당히 비싼 칩이죠)를 이용하여 패킷 포워딩 기능을 구현(assembler 기반의 microcode)한 적이 있습니다. 그 때의 경험과 추억을 되살려 L3 스위치의 패킷 전달 로직에 대해 설명을 드려 볼까 합니다. 아래와 같은 순으로 연재를 하겠습니다. 1편: 라우터 구조 소개 (오늘 글) 2편: IP 라우터의 패킷 포워딩 과정 3편: L3 스위치의 L2(Ethernet) 스위칭 과정 4편: L3 스위치의 IP 포워딩 과정 라우터 구조 좌측 그림은...
06/07/2012
68,363
넷매니아즈 블로그를 통해 두차례에 걸쳐 TIC(Transparent Internet Caching)에 대해 소개해 드린 적이 있습니다. (관련 글은 하단 Related Netmanias Contents 참조) 오늘은 TIC 동작 원리를 좀 더 상세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Redirector TIC 솔루션을 위해서는 TIC와 연결된 네트워크 장비가 Redirector 기능을 지원해야 합니다. Redirector는 사용자에서 Origin 서버로(예. YouTube), 그리고 Origin 서버에서 사용자로의 패킷을 의도적으로 TIC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며 정교한 Redirect Rule을 주기 위해서는 DPI(Deep Packet Inspection) 장비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HTTP 30...
06/06/2012
31,176
지난 시간에 이어 오늘 설명 드릴 내용은 아래 그림 우측 IP Routing입니다. 예전에 IP 분야 경력자 면접을 볼 때 우측 그림상에서 패킷 흐름/테이블 변화(아래 설명할 내용)를 화이트보드에 한번 그려 보라 한 적이 있는데요. 웃는 얼굴로 설명을 시작했지만 끝은 별로 좋지 않았다는... 지난 시간과 마찬가지로 망 구성도를 잘 봐 주시기 바랍니다. MAC/IP 값은 아래 테이블과 같습니다. Server/Router Port MAC 주소 IP 주소 SVR1 lan1 m1 1.1.1.10 SVR3 lan1 m3 2.1.1.30 R1...
05/31/2012
67,608
제목이 좀 유치하죠? ^^* 말랑 말랑한 블로그 공간에서의 표현이므로 너그럽게 봐 주시기 바랍니다. 오늘과 내일에 걸쳐 L2(Ethernet) 스위칭과 L3(IP) 라우팅 과정에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글을 통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ARP와 IP 패킷 스위칭/라우팅 과정에서 Ethernet Header의 변화 스위칭/라우팅 과정 전후로 단말과 스위치, 라우터의 테이블(Routing, ARP, MAC Table) 엔트리 변화 Switching과 Routing 위 그림은 앞으로(오늘과 내일) 설명드릴 망 구성도이므로 잘 봐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서버/라우터의 MAC, IP 주소, 스위치/라우터의 포트(인터페이스) 번호)...
05/31/2012
93,300
"LTE와 Wi-Fi 네트워크 연동 구조" 연재 마지막 편으로 Location Management에 대한 설명입니다.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핸드오버에 대해 간단히 살펴 보겠습니다. LTE 망 안에서의 eNB(기지국)간 핸드오버 결정은 UE(단말)가 아닌 LTE 망(eNB)이 수행합니다. 이를 위해 UE가 현재 붙어 있는 eNB(Serving eNB)는 "자신(Serving eNB) 및 인접한 eNB로 부터 수신되는 셀의 신호세기"를 UE로 부터 지속적으로 리포팅 받아 핸드오버를 결정하게 됩니다. (LTE 핸드오버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면 여기, 여기 클릭) 반면, LTE와 Wi-Fi 간에 핸드오버와 같이 LTE(3GPP 망)와 이기종 Access 망(Non 3GPP 망)간의 핸드오버...
05/30/2012
52,144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EMM 시나리오와 11가지 EMM Case들 문서를 참고하시고 본 문서를 읽기 바랍니다. EMM 절차 다섯 번째 문서로, EMM 시나리오 편에서 정의했던 EMM Case 5, 즉 LTE 망에 접속 후 휴지 상태(ECM/RRC-Idle)에 있는 사용자가 TAU(Tracking Area Update) timer가 경과하여 UE의 위치 정보로 TA 정보(TAI: Tracking Area Identity)를 MME로 보고하는 Periodic TAU 절차를 다룬다. UE와 MME 간에는 베어러(E-RAB) 설정 없이 시그널링 연결(ECM 연결) 만이 설정되며, 사용자가 TA를 보고하고 나면 ECM 연결은 해제되고 사용자는 다시 휴지 상태로 돌아가는 과정을 기술하고, Periodic TA...
05/24/2012
59,595
3G Subscribers (3) 4.5G (1) 4G LTE (2) 5G (452) 5G Private 5G (1) 5G 특화망 (148) 5g 특화망 (1) AI (25) ALTO (3) AR (3) ARP (9) AT&T (5) AWS (2) Akamai (16) Authentication (13) BSS (1) BT (5) Backbone (11) Backhaul (6) Big Data (4) Billing (1) Blockchain (3) Bridging (7) C-RAN/Fronthaul (61) CDN (47) CIoT (2) CPRI (13) Carrier Aggregation (7) Carrier Ethernet (11) Charging (4) China (1) China Mobile (5) Cisco (10) Cloud (6) Cloud Optimization (2) CoMP (11) Comcast (3) Connected Car (4) DHCP (15) DNS (18) Data Center (29) EDGE (35) EDge (1) EMM (14) EPS Bearer (8) Edge (6) Edge Computing (1) EoMPLS (4) EoS (4) Ericsson (3) Ethernet (9) FTTH (20) Femto Gateway (2) Fronthaul (1) GSLB (6) GiGAtopia (4) Gigabit Internet (61) Google (29) Google Global Cache (11) Google TV (2) HLS (10) HSDPA (2) HTTP (8) HTTP Adaptive Streaming (23) HTTP Progressive Download (7) Handover (12) Huawei (3) IEEE 802.1 (5) IGMP (5) IP (7) IP Allocation (14) IP Routing (32) IPSec (5) IPTV (88) IS-IS (1) IoST (5) IoT (160) Iot (1) KT (144) Korea (29) Korea ICT Market (20) Korea ICT Service (15) Korea ICT Vendor (3) L3 Switch (5) LG U+ (72) LSC (1) LTE (278) LTE Frequency (4) LTE Subscribers (4) LTE-A (34) LTE-A Pro (1) LTE-B (1) LTE-H (2) LTE-M (4) LTE-U (8) LoRa (13) MEC (58) MPLS (29) MPTCP (5) MWC 2013 (2) MWC 2015 (12) MWC 2016 (3) MWC 2017 (1) Metro Ethernet (24) Mobile IP (2) Mobile IPTV (3) Multi-Screen (7) Multicast (8) NAT (9) NB-IoT (12) NTT Docomo (3) Netflix (18) Network Protocol (119) Network Recovery (8) Network Slice (2) Network Slicing (7) New Radio (10) Nokia (1) O-RAN (2) OSPF (7) OTT (52) Openflow (2) Operator CDN (10) P2P (6) PCRF (3) PIM-SM (2) PS-LTE (3) Platform (2) Pooq (3) Privae 5G (1) Private 5G (201) Privatre 5G (1) QoS (18) RCS (5) RRH (1) Railway (1) Request Routing (7) Roaming (1) Router (8) SD-WAN (34) SDN/NFV (162) SIM (1) SK Broadband (5) SK Telecom (124) Samsung (12) Satellite (1) Security (28) Self-Driving (4) Shortest Path Tree (2) Small Cell (7) Spectrum Sharing (3) Switching (6) TAU (7) TPS (13) Transcoding (3) Transparent Caching (17) UHD (15) VLAN (3) VPLS (7) VPN (10) VR (5) Verizon (5) Video Optimization (5) Video Pacing (5) Video Streaming (58) VoLTE (11) VoWiFi (3) WAN Optimization (3) Wholesale CDN (7) Wi-Fi (74) WiBro(WiMAX) (4) Wideband LTE (3) YouTube (36) blockchain (1) eICIC (2) eMBMS (8) ePDG (8) iBeacon (1) security (1) telecoin (1) u+ tv G (5) uCPE (2) 로컬 5G (3) 이음 5G (100) 이음 5G\ (1) 이음5G (3)